본문 바로가기

[음악감상실]1176

관현악곡 100선 [48] 마스카니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CAVALLERIA RUSTICANA 마스카니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Pietro Mascagni 1863 - 1945 이태리 19세기 후반, 지나친 낭만주의 색채에 젖어 있던 이탈리아 예술계에 반기를 들어 현실주의를 내세우는 문예운동이 일어났다. 음악계에도 이 조류를 따른 베리즈모(Verismo)운동이 대두되었으며 그 첫번째 작품이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이다. 우리말로 옮기면 '시골 기사도'라는 뜻이다. 원본인 베르가의 희곡은 1884년에 밀라노에서 초연되었고 이러한 베리즈모 연극과 오페라의 출현으로 지금까지 극장 무대에서 배경 정도밖에 하는 일이 없던 서민이 주역을 맡는 길이 열렸을 뿐 아니라, 곧잘 사투리로 지껄이거나 노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단지 관객의 이국 취미에 호응하기보다는 있는 그.. 2023. 8. 10.
관현악곡 100선 [47] 바흐 / 관현악 모음곡 2번 Orchestra Suite No.2 In B Minor BWV.1067 바흐 관현악 모음곡 2번 나단조 Bach, Johann Sebastian, 1685-1750 바흐의 이 작품은 정확한 작곡 연대를 알 수 없다. 아마도 쾨텐의 궁정 관현악단의 악장으로 일하던 이른바 쾨텐시절인 1717년부터 1723년의 사이에 작곡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이 시기에 바흐의 실내악 작품의 대부분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은 제1번-제4번(bwv1066-1069)으로,그 가운데서 플루트와 현악 합주에 의한 이 제 2번 b단조와 제 3번 d장조의 air가 유명하다. 여기서는 바로크 음악 전문가인 톤 쿠프만 (Ton Koopman)이 하프시코드를 연주하며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데 투명하고 단정하다. .. 2023. 8. 10.
관현악곡 100선 [46]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봄의 소리 왈츠 Voice of Spring Op. 410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봄의 소리 왈츠 Johann Strauss (1825 -1899) 봄의 소리’는 왈츠의 황제 요한스트라우스가 자신의 오페레타가 ‘유쾌한 전쟁 부다페스트’에서 초연되는 지휘를 위해 58세 되던 1883년 2월 헝가리에서 우연히 초대된 디너피티에서 미 친분이 두터웠던 리스트와 집 여주인의 연탄을 바탕으로 즉흥적으로 하나의 왈츠를 다듬어 내어 그곳 청중들에게 들려준 왈츠곡이다. 짤막한 전주를 거쳐 세 개의 작고 우아한 왈츠가 이어지고 첫 왈츠의 주요부를 재연하며 끝을 맺는 형식이다. 1883년 경에 작곡된 이 작품은 원래는 소프라노 독창곡으로 작곡되었지만 오케스트라곡으로 많이 연주되고 있다. 곡의 흐름은 마치 봄날, 들과 산에 지저귀는 새소리.. 2023. 8. 8.
교향곡 100선 [51] 베토벤 / 웰링턴의 승리 (전쟁교향곡) Wellington's Victory, Op. 91 베토벤 "웰링턴의 승리" 작품 91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전쟁 교향곡 D장조 작품91 "웰링턴의 승리" 이 곡은 교향곡이라고 불려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교향시라고 불리어야 할지, 아직까지 논란이 대상이 되는 곡으로, 어쨌든 이 곡의 원재는 또는 라고 불리는 곡이다. 그렇지만 자필악보에는 "전쟁 교향곡"이라는 타이틀로 출판되었다. 1813년 12월 8일 빈 대학 강당에서 메트로놈을 발명한 멜첼이 주최한 에서 베토벤 자신의 지휘로 공개초연되었다. 이날 음악회에서는 소위 "전쟁 교향곡"이라 불리우는 op. 91과 교향곡 8번 op. 93도 같이 초연되었다. 전쟁이라는 주제는 18세기의 활약했던 거의 모든 작곡가들이 다루고.. 2023. 8. 8.
교향곡 100선 [50] 프로코피예프 / 교향곡 1번 '고전교향곡' Symphony No.1 in D major, Op25 'Classical' 프로코피예프 / 교향곡 1번 Op.25 - '고전교향곡' Serge Prokofiev 1891-1953 이 교향곡은 프로코피에프의 특징 - 아름다운 멜로디와 화음, 그리고 기동성 있는 리듬과 비트 - 을 대변하여 주는 작품으로 그의 나이 27 세 때인 1916년과 1917년에 걸쳐 Petrograd 교외의 작은 마을에서 피아노 없이 고전적 형식으로 작곡한 작품이다. 프로코피에프는 당시에 음악의 순수성을 주장하였는데 고전파 형식을 현대적으로 쓴 것이다. 이 곡을 쓴 후에 그는 "하이든이 현재 살고 있다고 해도 현대의 새로운 "무엇"은 받아드렸겠지만 그의 스타일은 변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 곡은 일종의 내 방식의 고전적 스타일로 만.. 2023. 8. 8.
교향곡 100선 [49] 멘델스존 / 교향곡 제5번 '종교개혁' Symphony No.5 in D major, Op.107 멘델스존 / 교향곡 제5번 '종교개혁' 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 1809∼1847 1830년 종교 개혁 300주년 축제를 위해 작곡된 두번째 교향 곡이나 출판이 늦어져 제5번이 되었다. 제1악장엔 루터파 교회의 답창인 '드레스덴 아멘'이, 제4악장엔 코랄 '내 주는 강한 성'의 악절이 포함되어 '종교 개혁'이란 표제가 붙게 되었다. 멘델스존 집안은 유태인으로 유태교에 속하고 있었으나, 아버지때에 그리스도교로 개종하여 '멘델스존-바르톨디'라는 이름을 쓰게 되었다. 이 교향곡은 루터가 카톨릭교에서 신교를 만든 종교개혁 이래 300년째가 되는 축전에 임해서 작곡한 것이며, 1832년 11월 멘델스존의 지휘로 베를린에서 .. 2023. 8. 8.
교향곡 100선 [48] 모차르트 / 교향곡 36번 '린츠' Symphony No.36 in C major, K.425 'Linz' 모차르트 / 교향곡 36번 C장조 '린츠'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모차르트의 경이로운 음악성에 대해서는 여러 일화들이 전해오고 있지만, ‘작곡 속도’에 관해서라면 아마도 ‘린츠 교향곡’에 얽힌 일화가 으뜸으로 꼽히지 않을까? 모차르트는 1783년 11월 초, 고향 잘츠부르크를 방문했다가 빈으로 돌아가는 길에 들른 린츠(Linz, 오스트리아 제3의 도시)에서 불과 엿새 사이에(혹은 나흘 만에) 이 교향곡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실만으로도 기록적이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오보에, 바순, 호른, 트럼펫이 두 대씩 포함된 2관 편성에 연주 시간이 30분에 달하는 4악장짜리 교향곡을 쓰면서 오.. 2023. 8. 8.
교향곡 100선 [47] 레하르 슈트라우스 / 알프스 교향곡 An Alpine Symphony 레하르 슈트라우스 / 알프스 교향곡 Op.64 Richard Georg Strauss [1864 ~1949]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관현악 마지막 작품입니다. 이 곡은 교향곡이지만 표제가 있고, 이에 따라 자유로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일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개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서(序) 밤~해돋이 2. 제 1주요부 - 등산 3. 제 2주요부 - 정상 4. 제 3주요부 - 하산 5. 종말 1911년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1915년 2월에 완성되었고, 초연은 같은 해 10월 작곡가 자신의 지휘아래 베를린에서 있었습니다.자신이 '알프스교향곡'이라고 이름을 붙였지만 이곡은 단일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만 내용상으로 볼때 다섯부분으로 나눌수있다. 리하르트 .. 2023. 8. 8.
교향곡 100선 [46] 생상스 / 교향곡 3번 '오르간' Symphony No.3 in C minor, Op.78 'Organ' 생상스 / 교향곡 3번 '오르간' Charles Camiile Saint-Seans 1835-1921 음표로 그린 장대한 수선화 쏟아지는 음의 향연들은 마치 오선지위의 수많은 4분 음표, 8분 음표, 16분 음표 그리고 샤프와 플랫과 악상기호들이 쉴새 없이 내 머리 위에 쏟아져 내려오는 그런 느낌이었다. 그리고 그것들은 나의 몸을 지나서, 내가 서 있는 아래의 어떤 계곡이나 심연을 향해 끝도 없이 또 쏟아지듯 내려가는 것이다. 그 많은 악기들과 다양한 소리들이 이토록 한 곡 안에서 같은 방향을 향해 쏟아져 내린다는 것이 경이로울 따름이었다. 까뮈유 생상스는 프랑스 후기 낭만주의 최고의 작곡가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모짤트에 비견되는 천.. 2023. 8. 8.
[46] 조플린 / 엔터테이너 The Entertainer 조플린 / 엔터테이너 Scott Joplin, 1868 ~ 1917 The Entertainer 시작한 것은 1920년대로, 흑인노예들이 뉴잉글랜드지방에 도착한지 약 300년 후의 일이었다. 백인의 악기와 선율, 화성에 흑인들의 독창적인 리듬이 가세하여 흑인음악과 백인음악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재즈의 역사는 시작되는데 랙타임과 불루스는 이러한 재즈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랙타임은 1870년대부터 미국의 술집이나 무도장에서 흑인 피아니스트가 연주하던 스타일로, 왼손 반주가 경쾌한 2박자의 화음을 연주하는 동안 오른손은 싱코페이션 멜로디를 연주한다. 재즈는 바로 랙타임에서 싱코페이션 리듬을, 블루스에서 즉흥 연주의 전통을 계슨하고 있다. '랙타임의 왕'으로 불리는 흑인 작곡가.. 2023. 8. 7.
[45] 하이든(Haydn) / 현악 4중주 D 장조, Op.64 No.5 '종달새' String Quartet No.53 in D major, Op.64 No.5 Hob.III:63 'The Lark' 하이든 / 현악사중주 53번 "종달새" D장조 Franz Joseph Haydn 1732∼1809 하이든 현악 4중주 D장조 작품 64-5 "종달새" 여섯곡으로 이루어져 있는 하이든의 현악4중주곡 작품 64중 제일 먼저 작곡된 제5번은 라는 부제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하이든은 많은 현악 4중주곡을 작곡했는데 그 중에서 이 곡은 곡의 첫 부분에 나오는 바이올린의 연주가 마치 종달새의 울음소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종달새’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하이든의 현악 4중주곡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의 하나이다. 현악 4중주는 제 1 바이올린, 제 2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각 1명씩 4명으로 연.. 2023. 8. 7.
[44] 헨델 / 솔로몬 HWV67 중 ‘쉬바 여왕의 도착’ 'Arrival of the Queen of Sheba' , HWV67 From Oratorio Solomon 헨델 : 솔로몬 중에서 '시바여왕의 도착' Handel, Georg Fridrich (1684~1759) 시바여왕의 도착은 헨델의 오라토리오의 한곡인 솔로몬에 수록된 곡으로써 매우 활기차고 아름다우며 즐겁다. 헨델의 오라토리오 HWV.67 3부 "시바 여왕의 도착"(Arrival Of The Queen Of Sheba) 에서의 첫곡 서곡(Symfony) 이다. 오라토리오 솔로몬도 메시아 처럼 1부. 2부. 3부로 나누어져 있다. 1749년 3월 17일에 초연된 오라토리오 "솔로몬"은 종교적인 이야기지만 인간적인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는 것이다. 이 작품은 구약성서에서 내용을 취하였고 작곡가 자신의.. 2023.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