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감상실]1176 [51] 멘델스존 / 바이올린 협주곡 e 단조 Violin Concerto in E minor, Op.64 멘델스존 /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Jakob L. F. Mendelssohn 1809∼1847 멘델스존이 이 마단조 협주곡의 작곡에 착수한 것은 1838년(29세)의 일이지만 완성된 것은 그로부터 6년 뒤인 1844년(35세) 9월이었다. 속필가인 그로서는 이례적으로 장시일이 걸렸는데 그렇게 된 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었다. 우선 착수하기 전 해에 세실 살로테 소피 장 르노와 결혼해서 행복하고 다망한 신혼생활에 쫒기고 있었다는 것, 그리고 라이프찌히 음악원의 창설을 위해 동분서주해야 했고, 버밍검 음악제와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의 지휘자로서 연주활동에도 몸을 쪼개야 했던 것 등, 차분히 일에 몰두할 수 없었다는 것이 외부적인 주요 이유였다. 그.. 2023. 8. 10. [50] 멘델스존 / 한 여름 밤의 꿈 A Midsummer Night's Dream Op.21, Op.61 멘델스존 / 한 여름밤의 꿈 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 [1809∼1847] 1826년 멘델스존이 17세 때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을 숙독하고 그 환상적이며 괴이한 시적 여운에 감흥을 느끼고 작곡한 것이다.“Midsummer night”는 6월 24일, 하지인 [성 요한 제]의 바로 전날 밤을 가리킨 말이다. 서양에서는 그 밤에 기괴한 일들이 많이 생긴다는 미신이 전 오고 있다. 그러한 미신을 이용하여 환상적인 희극 [한여름 밤의 꿈]이 나온 것이다. 멘델스존은 처음의 연주회에 쓰일 독립된 서곡만을 작곡했었다. 그런데 17년 후인 1843년에 프러시아의 빌헬름 4세가 명하여, 국왕 탄생일을 축하하기.. 2023. 8. 10. [49] 마스네 / 타이스의 명상곡 (Meditation from Tais) Meditation de Thais 마스네 / 타이스의 명상곡 Jules Emile Frdric Massenet, 1842∼1912 마스네는 20편 이상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이 오페라 는 아나톨 프랑스의 소설에 의한 3막 가극인데 1894년 3월 16일 파리 오페라좌에서 초연되었다. 고대 그리스도교의 수도사 아타나엘이 퇴폐와 향락에 젖은 알렉산드리아의 무희 타이스를 구하려고 그녀를 개종시켰는데, 도리어 자신이 타이스의 육체적 아름다움에 매혹되어 타락해 간다는 정신과 육체의 영원한 갈등을 그린 것이다. 이 타이스의 명상곡은 제2막 제1장과 제2장 사이에 연주되는 간주곡이다. 원곡은 오케스트라 곡이지만, 선율이 너무나 서정적이어서 바이올린 독주용으로 편곡되었다. 이 곡의 섬세하고 아름다운 선율과 관능적인 .. 2023. 8. 10. [48] 리스트 / 피아노곡 사랑의 꿈 (Lieves Trame) table border="1" width="76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bgcolor="#fffff0" data-ke-align="alignLeft"> Liebestraum No.3 in A Flat major, Op.64-3 리스트 / "사랑의 꿈" 제3번 Franz Liszt 1811∼1886 Liebestraum No.3 in A Flat major, Op.64-3 작품 배경 및 해설사랑의 꿈으로 알려진 이 피아노곡의 원곡은, 리스트가 작곡한 3곡의 가곡을 모두 피아노 곡으로 편곡한 곡입니다. 이 3곡의 가곡은 리스트의 가곡 "고귀한 사랑 G.307", "가장 행복한 죽음 G.308", "사랑할 수 있는 한 사랑하라 G.298"을 말하.. 2023. 8. 10. [47] 크라이슬러 / 사랑의 슬픔 Liebesleid 크라이슬러 / 사랑의 슬픔 Kreisler, Fritz (1875.2.2~1962.1.29 작품개요 및 해설 크라이슬러의 소품들은 음악사적으로는 큰 의미가 없는 것이 사실이어서 그의 작품에 대한 해설을 찾으려 해도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그 친근하고 아름다운 선율은 '고전음악의 보편화'라는 의미에서 베토벤이나 모차르트 못지 않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여지며, 요한 슈트라우스 일가의 빈 왈츠와 더불어 'Basic Classic'에 가장 어울리는 음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랑의 기쁨(Leibsfreud)과 사랑의 슬픔(Leibesleid) 20세기 최고의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 겸 작곡가인 Kreisler가 작곡한 바이올린 곡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이 "사랑의 기쁨(.. 2023. 8. 10. 협주곡 100선 [50] 비발디 / 오보에 협주곡 RV.548 Concerto for Oboe and Violin in B flat major,RV548 비발디 / 오보에협주곡 Antonio Vivaldi, 1678~1741 비발디가 가장 많이 사용했던 목관악기는 파곳이었으며, 그 다음이 오보에였는데, 대략 20곡이넘는 "오보에 협주곡" 또는 "오보에가 들어가는 다중협주곡"을 남겼다. 이중 RV447,RV461등이 유명한데, 여기 올린음악인 RV548,Rv576은 접할 기회가 그리 흔치는 않지만, 그 아름다움은 그의 좀더 잘 알려진 오보에 협주곡에 뒤지지 않는다. RV 548 은 오보에와 바이올린을 위한 이중협주곡으로 특유의 도발적인 리토르넬로 개시부가 전형적인 비발디 풍이다. 제 2악장은 철저히 두대의 독주악기에 의존하고 있는데, 오보에가 선율을 연주하고 바이올린.. 2023. 8. 10. 협주곡 100선 [49] 타우쉬 / 두대의 클라리넷 협주곡 1번 내림 나장조, Op.27 Concerto for two clarinets No.1 in B flat major 타우쉬: 클라리넷 협주곡 1번 내림나장조 Franz Wilhelm Tausch (1762 - 1817) 협주곡 1번, 작품 27은 2개의 플루트, 2개의 바순, 2개의 호른이 있는 현악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악장 테마는 강한 리드미컬한 토대를 가지고 있어 솔리스트에게 장식의 범위를 제공합니다. 두 번째 주제가 등장하면서 현이 녹아내리면서 솔리스트들은 두 명의 바순과 함께하게 됩니다. 두 번째 악장인 부드러운 Adagio는 현에서 불길한 오프 비트 반분 음표와 함께 단조로의 위협적인 전환으로 중단됩니다. 그러나 솔리스트에 대한 거장 요구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쉬운 듣기' 범주에 해당하는 가벼운 마음의 Rond.. 2023. 8. 10. 협주곡 100선 [48] 플라티 / 오보에 협주곡 사단조 Oboe Concerto in G minor 플라티: 오보에 협주곡 사단조 Giovanni Benedetto Platti (1690 - 1763) 플라티의 유일한 오보에 협주곡 플라티 (Giovanni Benedetto Platti) - 작곡가 (1692 or 1697-1763)이탈리아 작곡가 지오반니 베네데토 플라티(c.1697~1763)는 베네치아 출신이며 젊은 날에 독일로 건너가 밤베르크-뷔츠부르크 대주교를 위해 일하며 다양한 작품을 썼다. 당연히 이탈리아 및 독일 요소가 공존하고 있는 그의 소나타와 트리오는 바이올린, 오보에, 첼로의 음색과 특성에 대한 예민한 감각, 단정하고 우아한 형식미, 전고전파 갈랑트 형식을 받아들인 참신한 개성이 돋보인다. 음악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중시하는 연주 경향 역시.. 2023. 8. 10. 협주곡 100선 [47] 레거 / 바이올린 협주곡 Violin Concerto in A major, Op.101 레거 / 바이올린 협주곡 Max Reger 1873~1916 레거는 이 바이올린협주곡을 쓰는 동안 라이프찌히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하던 친구인 칼 슈트라우베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이 바이올린협주곡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네,자네도 이곡이 마음에 들 것이라고 생각하네. 이 곡은 이제 "참다운" 레거의 곡이 되었다네. 말하자면 이 곡을 듣는 사람은 어떤 초연함을 느낄수 있을걸세. 왜냐하면 나는 언제나 보다 "유연한" 작품을 쓰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네. 그것만이 나에게 이득이 될수 있을거네,또한 기악편성도 정말로 훌륭하다고 생각하네, 왜냐하면 독주자의 연주가 묻히지 않도록 가능하면 높은 "투명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이지.. 이.. 2023. 8. 10. 협주곡 100선 [46] 멘델스존 /피아노 협주곡 1번 in G minor Op.25 Piano Concerto No.1 in G minor Op.25 멘델스존 / 피아노 협주곡 1번 G단조 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 1809∼1847 1831년 10월 6일자 멘델스존의 편지에 '새로운 g단조 협주곡'등의 문귀가 적혀 있는데, 그달 17일에 뮌헨에서 이 협주곡이 멘델스존 자신의 피아노 연주로 초연되었다. 작곡된 것은 1831년 22세 때라 고증되고 있다. 초연 이듬해인 1832년에 런던에서 연주되었는데, 대단한 대단한 찬사를 받은 멘델스존은 편지속에서 '내 생애 동안에 이렇게 성공한적은 없었습니다. 청중은 거센 흥분과 감격의 폭풍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라고 말한바 있다. 이 로맨틱한 협주곡은 단조로 썼지만 단조에 나타나는 비극적인 느낌은 없고, 오히려 예의바.. 2023. 8. 10. 관현악곡 100선 [50] 로시니 / 클라리넷을 위한 서주, 주제와 변주(오페라 호반의 여인) Introduction, Theme and Variations for Clarinet and Orchestra from La Donna del lago 로시니 / 클라리넷과 관현악을 위한 서주, 주제와 변주 Gioacchino Antonio Rossini 1792∼1868 클라리넷 오페라 아리아 로시니의 `호반의 여인, 모차르트의 `마술피리`와 돈 지오바니,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와 같은 오페라에서 자주 들어 왔던 아리아 선율들을 클라리넷과 오케스트라만으로 연주하고 있다. 아리아 원래의 모습들에서 적지 않은 변형이 이루어져 있지만 이런 색다른 모습들이 오히려 신선한 느낌과 재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카를 라이스터 역시 이런 음반을 녹음한 바 있지만 반주를 담당하고 있는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사이의 차이는 .. 2023. 8. 10. 관현악곡 100선 [49] 마이어베어 / 오페라 [예언자] 중 "대관식 행진곡" Coronation March - Opera 'Be Prophets' 마이어베어 / 오페라 [예언자] 중 "대관식 행진곡" Meyerbeer, Giacomo, 1791.9.5~1864.5.2 Coronation March 예언자(Be prophets) 작곡 : 마이어 베어(Meyerbeer, Giacomo 1791∼1864) 대본 : 스크리브, 프랑스어 때 : 16세기 중엽 곳 : 홀랜드 및 뮨스타 초연 : 1849. 4. 16. 파리 등장인물 라이덴의 요한(T) 오벨탈 백작(B) 피에스 : 요한의 어머니(A) 베르타(S) 지오나(B) 찻카나(T) 마티젠(Ar) 줄거리 제1막 : 오벨탈 백작이 있는 성 앞 군중들이 많이 모여 아침 노래를 기운차게 합창하는데 백성의 딸 베르타와 피에스가 나타난다. 베르타는.. 2023. 8. 10.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