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감상실]1176 교향곡 100선 [39] 라흐마니노프 / 교향곡 2번 Symphony No.2 in E minor, Op.27 라흐마니노프 / 교향곡 2번 E단조 Op.27 Sergei Vasili'evich Rakhmaninov (1873-1943) 라흐마니노프가 평생에 걸쳐 남긴 3곡의 교향곡은 1895년에 작곡되어 글라주노프의 지휘로 1897년 초연된 제1번 D단조 Op.13을 시작으로 2번 교향곡은 1907년에 작곡되고 이듬해인 1908년 러시아 페테르스부르크의 마린스키 극장에서 초연됩니다. 이 곡은 장대한 스케일의 관현악곡으로 마지막 부분에서 교향곡 1번과 같은 종결부의 위협감이 사라지고 밝고 경쾌한 마지막 악장의 주요 테마로 장식을 하며 끝이 납니다. 그는 피아노 곡들을 가리켜 스스로 피아노 교향곡 이라고 불렀다고 하는데 그만큼 피아노 음악을 사랑했던 훌륭한 연.. 2023. 8. 2. 교향곡 100선 [38] 모짜르트 / 장난감 교향곡 C장조 Toy Symphony, (Cassation for toys, 2 oboes, 2 horns & strings) in G major (formerly K. 63) 레오폴드 모짜르트 장난감 교향곡 Leopold Mozart (1719 - 1789) 장난감 교향곡 C장조 Kinder Symphonie내용이 무겁지 않고 현악합주에 새소리(뻐꾸기·나이팅게일·메추라기 등)와 장난감악기(나팔·북·트라이앵글·딸랑이 등)를 곁들여 사용한 데서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었으며, 음악 자체는 교향곡이라기보다는 당시 유행하고 있던 오락음악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작품은 1770∼80년대에는 작곡자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작곡자명과 제명으로 알려졌다고 한다. 장난감 교향곡은 오랜 동안 하이든의 작품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 이르러.. 2023. 8. 2. [40] 그리그 / 페르 귄트 모음곡 1번 Peer Gynt Suites No.1 페르귄트 / 모음곡 제 1번 Edvard Grieg (1843-1907) 제 1 모음곡 Allegretto pastorale E장조 6/8박자 이 곡은 제4막의 전주곡인데 클라리넷과 바순의 하모니에 실려 풀륫이 조용한 새벽빛이 떠오르는 모로코 해안의 아침 기분을 목가풍으로 노래한다. 이 아침의 정경은 한 폭의 그림으로 보아도 좋을 정도로 전개된다. Andante doloroso b단조 3/4박자 제3막에서 페르 귄트가 지켜보는 가운에 그의 어머니 오제가 죽는 장면이다. 이 음악은 고금의 장송음악 가운데 걸작의 하나로서, 약음기를 단 현악기가 거듭 반복되는 주제로 어둡고 쓸쓸한 기분을 잘 나타내고 있다. Tempo di Mazurka a단조 3/4박자 제4막에 나오는.. 2023. 8. 2. [39] 그라나도스 / 스페인 무곡 중 제5번 안달루사 v Danzas Espanolas, Op.37 - 5 Andaluza in E minor 그라나도스 / 스페인 무곡 5번 안달루시아 Enrique Granados 1867~1916 그라나도스 스페인 무곡 이 무곡집은 "고예스카스(Goyescas)"와 함께 그라나도스(1867 - 1916)의 대표적 피아노 작품이다. 스페인의 각 지방의 민속무곡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안달루시아 지방의 것이 4곡, 그 밖의 지방의 것이 8 곡으로 모두 12 곡으로 구성되었다. 그는 기악법과 화성악법에서 어느 정도 미흡하였던 관계로 오케스트라 곡이나 오페라에서는 주목 받는 작품을 남기지 못하였으나, 선천적으로 멜로디에 강하였고 또한 이름있는 피아니스트로 활약하였기에 피아노 작품은 상대적으로 뛰어났다. 2번째 곡 "오리.. 2023. 8. 2. [38] 구노 / 아베 마리아 Ave Maria 구노 아베마리아 Gounod, Charles Francois (1818~1893) 이 노래의 반주 부분은 Bach의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의 전주곡 C장조」를 사용했으며 여기에 멜로디를 붙인 것이다. 경건한 신앙과 사랑이 담겨 있으며 성모 마리아를 찬미하는 노래 중에서 슈베르트의 아베마리아와 함께 가장 많이 찬송되는 아름다운 노래이다. 아베마리아! 신의 은덕이 가득한 성모님이시어! 사랑과 행복이 넘치는 성모님이시어! 기도 밭으소서. 예수의 어머님 되시는 산타마리아여! 죄 많은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이 몸이 살아 있을 때나 죽는 그날가지 아멘! 아베 마리아(Ave Maria)는 로마 카톨릭 교회의 주기도문(파테르 노스테르), 영창(글로리아 파트리), 사도신경(크레도)과 더불어 가장 많이.. 2023. 8. 2. [37] 글룩 / 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중 2막 2장 '정령들의 춤' Orpheus and Eurydice - Dance of the Blessed Spirits 글룩/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중 '정령들의 춤' 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1787) 이 오페라는 알려진 그리스 신화를 바탕으로 1762년 칼차비지의 대본을 글룩이 오페라화 한 것이다. 그 당시 두 사람은 전통적인 이탈리아 오페라의 음악 과잉 경향을 배격하고 극과 음악의 자연스러운 융합을 꾀하였다. 1762년 초연되었을 때는 2막의 구성이었지만, 그 후 손을 대어 1764년 3막 구성으로 출판되었다. 오르페오는 지옥을 거쳐 천국에 도착했을 때 (2막)정령들의 춤을 보게 된다. 그리고 모든 것이 너무나 아름답고 자신은 불행하다는 내용의 아리아를 부르 게되는데 정령들이 춤을 출.. 2023. 8. 2. [36] 포레 / 꿈 꾸고 난 후에 Après un rêve Op. 7 No.1 포레 / 꿈 꾸고 난 후에 Gabriel Fauré (1845~1924) 포레의 명곡 는 작곡가의 작품집인 에서 첫 번째로 등장하는 곡입니다. 포레의 이 성악곡집은 1870년부터 1878년까지 작곡된 것이라고 하니, 작은 규모의 성악곡 3곡이 실리는데 무려 9년 정도가 걸린 것입니다. 작곡가의 나이 25살때부터 33살때가지 만든 성악곡집입니다. 포레의 이 노래는 Romain Bussine의 시를 바탕으로 해서 곡을 붙인 음악이라고 합니다. 가사의 내용은 지나간 옛사랑에 대한 회상을 담고 있습니다. 성악곡으로 연주되는 오리지널 형태뿐만 아니라 첼로를 비롯한 기악 독주용 편곡으로도 많이 연주되고 있는 명곡입니다. 물론 기악 연주용 편곡서는 피아노를 비롯한 반주 악.. 2023. 8. 2. [35] 포레 / 엘레지 Elegie, Op. 24 포레 / 엘레지 Op. 24 Gabriel-Urbain Fauré (1845 ~1924) G. 포레(1845~1924)는 실내악이나 기악독주곡에서 그 섬세한 악상으로 특이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소품의 첼로곡은 푸레가 첼로 연주를 위해 쓴 최초의 작품으로, 1880년 그의 나이 35세 때 쓰여졌다. 오랫동안 사랑한다고 믿었던 마리안 비아도트와의 관계가 끝났음을 인정하는 작곡자의 마음 상태가 고스란히 이 곡에 담겨 있다. 애수를 듬뿍 머금고 낭랑하게 울려나오는 선율은 첼로 고유의 음색을 마음껏 발휘하면서 슬픔에 잠기게 한다. 피아노 반주로 연주되기도 하지만 포레 자신이 관현악 반주만으로도 편곡하여 소품이지만 오케스트라에 의한 앵콜곡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는 이곡 초연에 .. 2023. 8. 1. [34] 포레 / 시칠리안느 Sicilienne, Op.78 포레 : 시칠리안느 Gabriel Faure (1845년~ 1924년) Gabriel Faure ( 가브리엘 포레 ) 프랑스 음악가 : 시실리안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OP . 78 ' 시실리안은 ' 본래 몰리에를의 극음악 평민 귀족의 일부로 1893년에 작곡하였습니다.. 그리고 후에 작곡된 극음악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 OP . 80 )에서도 다시 이 곡이 사용됩니다. 이작품에서는 시실리안의 독특한 부점 리듬이 효과적으로 쓰여지고 있으며 선법적인 선율의 움직임을 통해서 섬세한 변화가 그려집니다. 이곡은 포레의 곡중에서 가장 사랑을 받는 곡의 하나로 ~~ 기분이 경쾌해지면서 출렁이는 바다의 파도처럼 ~~~ 시원함을 연상하게 됩니다. 눈에 비추이는 아름다운 선율을 감상하시면서.. 2023. 8. 1. 협주곡 100선 [38] 요제프 피알라 / 오보에 협주곡 B flat 장조 Oboe Concerto in B flat major 요제프 피알라 / 오보에 협주곡 B flat 장조 Josef Fiala (1748 ~ 1816) 요세프 피알라, Josef Fiala (1748 ~ 1816) 보헤미아에서 음악주자로서, 음악교사로서 활동을 하다가 1977년 독일 뮨헨으로 옮겨앉아 음악활동을 합니다. 모차르트보다 약간 일찍 태어난 그는, 모차르트와 친교를 맺고, 모차르트에게 음악적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는 이후 프루시아로 옮겨서 음악장으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일생을 마쳤다고 합니다. 인물에대한 초상화는 전혀 남긴게 없습니다. I. Allegro assai II. Adagio III. Rondo : Allegretto 2023. 8. 1. 협주곡 100선 [37] 모짜르트 / 바순 협주곡 B flat 장조 Concerto for Bassoon in B flat major, K 191 모차르트 / 바순 협주곡 B flat 장조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바순 협주곡 B flat 장조(K.191)는 모차르트가 1774년 잘츠부르크에서 작곡한 곡으로 바순을 위한 작품들 가운데 가장 표준적인 작품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 거의 모든 바순 연주자들은 이 작품을 평생 한 번은 연주하며, 관현악단 오디션에서 가장 자주 선택되는 평가곡으로 오디션에서는 응시자에게 보통 1악장과 2악장에서 발췌한 일부를 연주하도록 요구한다. 이 작품을 쓸 당시 모차르트의 나이는 열여덟살이었고, 이 작품은 그가 쓴 기악 협주곡들 가운데 초기 작품에 해당된다. 비전문 바순 연주가였던 뒤르니츠 남작의 의뢰로.. 2023. 8. 1. 협주곡 100선 [36] 모차르트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G 장조 Violin Concerto No.3 in G major k.216 모짜르트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G장조 Mozart, wolfgang Amadeus (1756-1791 Aust.) 그의 아버지 레오폴드는 잘쯔부르크 대사교의 궁정 음악가였는데 1762년에 그는 뮌헨과 비인 등지로 연주여행을 하여 절찬을 받았습니다. 다시 1763년부터 3년간 프랑스,영국,네덜란드 등지를 돌았으며 1767년부터 2년간은 비인으로, 1769년부터 3년간에 걸쳐 이탈리아를 3회나 연주 여행을 하였습니다. 그는 여행 지에 따라 새 지식을 배웠고 작곡 기법 등을 함께 습득 했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이탈리아적인 명랑한 면과 독일적인 건강한 화성에 고전파 시대의 중심이 될 만한 기량을 겸해 배웠던 것입니다. 1777년에 그는 만.. 2023. 8. 1.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