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1113

춘천교구 주교좌 죽림동성당 유명 가톨릭 미술가 작품 가득한 ‘가톨릭 미술의 보고(寶庫)’ 화강암 성당과 중정·회랑·잔디마당 어우러진 기도의 장소 6·25전쟁 순교자 묘역은 2017년 성지로 선포성당의 회랑 끝 종탑에서 바라본 죽림동성당. 이승환 기자춘천교구 죽림동성당 전경. 2017년 2월 드론 촬영. 이승환 기자북한강과 나란한 경춘가도를 따라 춘천 시내로 들어서자 야트막한 언덕 위에 자리한 회벽돌 성당이 눈에 들어온다. 춘천교구 죽림동주교좌성당이다. 성당은 예전 그대로 약사리고개 가장 높은 곳에 우뚝 서 있지만 주변은 변화가 있었다. 2013년 성역화 사업으로 성당 앞은 중정과 회랑이 조성됐다. 교구의 얼굴인 주교좌성당의 아름다움을 한껏 드러낼 뿐 아니라 신자들이 언제든 찾아와 묵상하고 기도하는 순례의 장소로 거듭난 것이다. 춘.. 2025. 3. 30.
전국에서 가장 먼저 꽃을 피우다 광양 소학정마을 매화 2025. 3. 16.
대전교구 순교성지 갈매못 순교성지 갈매못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바닷가에 있는 성지입니다. 참 아름다운 곳이며, 넓고 푸른 바다와 갈매기들이 노니는 모습에 눈을 빼앗기기도 하고, 저녁에는 해넘이의 장엄한 모습에 마음을 빼앗기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곳 갈매못을 더욱 아름답게 하는 것은 우리 신앙선조들의 목숨까지 바친 주님을 향한 충직한 믿음과 사랑때문일 것입니다.  갈매못 성지는 우리나라의 마지막 박해인 병인박해(1866)때 5백 여 명의 신앙선조들이 목숨을 내던진 곳입니다. 목이 잘려 걸려 있던 곳이고, 묻혔던 곳입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이분들 대부분의 이름을 모릅니다. 이름조차 남기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신원이 밝혀진 열분 중 다섯 분이 성인품에 오르십니다. '갈매못'은 '갈마연(渴馬淵)'에서 온 말입니다. 즉 '목마른 말에게 .. 2025. 3. 16.
수원교구 죽산성지 죽산성지는 1866년 병인박해 때 당시 수많은 가톨릭 신자들이 갖은 심문과 고문에도 신앙을 버리지 않고 하느님을 증거하면서 목숨을 바친 순교성지이다. 여기서 희생되어 ‘치명일기’와 ‘증언록’에 이름이 기록된 신자만 해도 24명에 달한다. 24위 가운데는 복자 박경진(프란치스코)와 오 마르가리타, 그리고 하느님의 종 8위가 있다. 중부고속도로 일죽 IC를 나와 안성 방향으로 300미터정도 가면 ‘죽산성지’라 새겨진 큰 돌을 만난다. 이곳에서 성지까지는 800여 미터. 포졸들에게 잡혀 와 죽산 관아에서 모진 고문을 받고 초주검 된 신자들이 처형터로 향하던 그 길이다. 죽주산성을 마주하는 이곳은 고려 때 원나라 군사가 진을 친 곳이어서 ‘이진(夷陳)터’라 불렸는데, 박해 시기 “거기 끌려가면 죽은 사람이니… .. 2025. 3. 16.
제주교구 정난주길 양반가의 딸로 태어나 신앙 때문에 노비되어 제주로 유배 ‘대정성지’로 단장한 정난주 묘소…13.8㎞ 순례길 끝에는 모슬포성당 자리 대정성지는 제주의 순례길 중 한 곳인 ‘정난주길’의 출발지다. 바다를 접해 걸을 수 있는 형제해안도로에서 바라본 산방산과 한라산. 이승환 기자 # 두 살 배기 아들 황경한을 품에 안은 정난주(마리아)가 유배길에 올랐다. 조선의 유배지 중 가장 멀다는, 중한 죄인들만이 보내진다는 제주로 가야 한다. 경기 마재 양반가 정약현의 딸은 이제 대역죄인의 아내이자 천주교를 믿었다는 이유로 전라도 제주목 대정현의 노비가 됐다. 신유박해의 참상을 알리겠다며 배론에서 백서(帛書)를 썼던 남편 황사영(알렉시오)은 중국으로 가던 편지가 발각돼 처형당했다. 당당히 목숨 바쳐 하느님을 증거한 남편을.. 2025. 3. 9.
옛 모습이 그리운 2004년 갑곶순교성지 2025. 2. 21.
포천 백운산 https://youtu.be/lAxFbJW41WU 2025. 2. 17.
겨울 낭만산책 일산호수공원 https://youtu.be/WOnhPogXVyk 2025. 1. 30.
인천교구 제물진두 순교성지 하늘 향해 피어오른 꽃, 순교자 감싸 안은 예수님의 손 신자들 공개 처형했던 나루터 땅에 좁고 높은 독특한 모습의 경당 봉헌 희념 기념 전대사 수여 순례지 지정 경당 내 십자가와 십자 모양 스테인드글라스. 이승환 기자 한국 속 중국이자 원조 짜장면 거리로 알려진 인천 중구 차이나타운. 국철 인천역과 인천 제8부두가 가까운 이곳에 1866년부터 1871년까지 지속된 병인박해 순교사를 간직한 성지가 있다. 인천교구 ‘제물진두 순교성지’다. 진두(津頭)는 한자 그대로 나루터. 흥선대원군은 이곳 제물 나루터를 공개 처형장으로 택했다. 백성들의 왕래가 잦고 외국 선박들의 출입이 빈번한 이곳에서 서양의 종교를 받아들인 천주교인을 처형함으로써, 외세 배척의 뜻을 대외에 밝히고 백성들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해서였다. 서.. 2025. 1. 26.
신년맞이 산행 계방산 2025. 1. 19.
새해맞이 계양산 산행 2025. 1. 19.
효심이 짙은 녹음처럼 배어 있는 북한산둘레길 11코스 효자길 울창한 그 숲엔 효심이 짙은 녹음처럼 배어 있는 북한산둘레길 11구간 효자길. 북한산둘레길 11구간 효자길은 효자동 공설묘지 앞에서 시작하여 포토포인트 Y자나무를 지나 밤골공원지킴터를 거쳐 사기막골입구까지 약 3.5Km를 건는 코스입니다. 2024.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