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와 영성]/가보고싶은 공소50 (50-끝) 대전교구 서산 동문동본당 상흥리공소 1884년 이전 설립된 서산 지역 복음화의 중심 대전교구 서산 동문동본당 상홍리공소는 1866년 병인박해 때 피신한 백씨와 임씨 문중 교우들이 정착해 일군 유서 깊은 교우촌이다. 전통 한옥과 서양 바실리카 건축 양식이 절충된 상홍리공소 전경 대전교구 서산 동문동본당 상홍리공소는 충남 서산시 음암면 상홍2길 122에 자리하고 있다. 상홍리의 옛 이름은 ‘가재’ ‘가잿골’이다. 가재는 갈재 밑에 있는 마을로 가래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제4대 조선대목구장 베르뇌 주교는 1861년 10월 전국을 서울, 상부 내포(충청도 홍주), 하부 내포(서부 충청도), 제천 배론 성 요셉 신학교, 충청도 동북부, 공주와 인근 지방, 경상도 서북부, 서부 경상도 8개 사목구로 나눴다. 상홍리는 서산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2024. 1. 14. 49. 대전교구 신례원본당 수철리공소 병인박해 순교자 후손들이 일군 신심 깊은 공소 대전교구 신례원본당 수철리공소는 병인박해 순교자 손자선ㆍ황석두 성인의 후손들이 일군 신심 깊은 공소이다. 2014년 개조한 수철리공소 전경 대전교구 신례원본당 수철리공소는 충남 예산군 예산읍 수철길 630에 자리하고 있다. 수철리(水鐵里)는 이곳에서 철이 많이 생산돼 ‘무쇠골’, ‘수철동’으로 부른 데서 유래됐다. 또 수철리는 전통 한옥 방바닥을 만드는 얇고 넓은 돌인 ‘청돌’(방장돌) 산지로도 유명했다. 수철리는 조선 시대 예산군 금평면 지역에 속했으나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임성면에 편입됐다. 이어 1917년 임성면이 ‘예산면’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40년 예산면이 예산읍으로 승격돼 예산읍 수철리가 됐다. 예산읍 동부에 자리한 수철리는.. 2024. 1. 7. 48. 대전교구 신례원본당 여사울공소 신유박해~병인박해 때 순교자들 이어진 ‘신앙의 못자리’ 대전교구 신례원본당 여사울공소는 한국 가톨릭교회 첫 수덕자 홍유한과 내포의 사도 이존창, 홍병주ㆍ영주 형제 성인을 비롯한 수많은 순교자가 살았던 유서 깊은 교우촌이다. 1959년 지은 여사울공소 전경 대전교구 신례원본당 여사울공소는 충남 예산군 신종여사울길61-2에 자리하고 있다. ‘여사울’ 지명 유래에 관해 일반적으로 ‘~과 같다’, ‘~과 비슷하다’는 ‘여(如)’자가 ‘서울’과 합쳐져 ‘여서울’, 곧 ‘부유한 기와집이 즐비해 마치 서울에 온 듯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설명한다. 삽교천과 무한천을 중심으로 너른 내포 평야가 펼쳐져 있는 충청남도 서북부 지방이 강과 바다의 물길이 교차하는 교통 요지여서, 농업과 상업으로 재산을 일군 이들이 많이.. 2024. 1. 1. 47. 전주교구 연지동본당 한교·신평공소 해방 이후 교우들의 전교로 교우촌 이룬 보기 드문 공소 전주교구 연지동본당 한교공소는 나바위본당 교우 몇 가정이 이주해와 1947년 설립한 공소로 교우들이 옹기를 구우며 전교를 해 마을 전 주민을 복음화시켜 교우촌을 이룬 공소이다. 한교공소 전경 전주교구 연지동본당 신평공소는 장성에서 이주해온 김기만 회장이 전교를 해서 설립한 공소이다. 김 회장은 자신이 직접 교리를 가르쳐 1952년 11월에 97명을 영세 입교시켰다. 신평공소 전경 전라북도 정읍시 북면에는 전주교구 연지동본당 관할 한교공소와 신평공소가 있다. 이들 두 공소는 해방 이후 이 지역으로 이주한 교우들의 모범적인 신앙생활과 전교로 마을 주민들이 세례를 받고 가톨릭교회로 입교하면서 설립된 신앙 공동체들이다. 연지동본당은 1985년 1월 정읍에서.. 2023. 12. 25. 46. 전주교구 시기동본당 등천공소 기해·병인박해 순교자 후손들 모여 일군 뿌리 깊은 신앙 공동체 전주교구 시기동본당 등천공소는 기해박해 순교자 조 안드레아와 병인박해 순교자 조화서 베드로와 조윤호 요셉 성인의 후손인 조 프란치스코 가족과 교우들이 박해를 피해 이주해 정착하면서 형성된 유서 깊은 신앙 공동체이다. 등천공소 전경. 전주교구 시기동본당 등천공소는 전북 정읍시 입암면 원등2길 26에 자리하고 있다. 입암면 등천리는 정읍시 남단의 원등, 신등, 군령을 포함한 마을로 입암산 아래에 있다. 입암(笠岩)은 우리말로 ‘갓바위’이다. 입암산 서쪽 정상에 갓바위가 있어 유래된 이름이다. 조선 왕조 때 이곳에서 사직제와 기우제를 지내 ‘제석암’ ‘제석봉’으로도 불린다. 등천리(登川里)는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때 남이면 등천리, 신령.. 2023. 12. 25. 45. 전주교구 시기동본당 신성공소 1903년 설립된 유서 깊은 정읍 지역 신앙의 못자리 6칸 회합실로 사용되던 시기동본당 신성공소 초가. 지금은 교우들과 순례자들의 사랑채로 이용되고 있다 전주교구 시기동본당 신성공소는 전북 정읍시 신성길 176-17에 자리하고 있다. 신성공소는 1903년 6월 본당으로 설립돼 올해로 120년 된 유서 깊은 정읍 지역 신앙의 못자리다. 현재 신성공소에는 1909년 지어진 4칸의 한옥 사제관(공소)과 회합실로 사용하던 6칸짜리 초가를 비롯해 성당 주위에 둘러쳐져 있는 돌담, 그리고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이 빵을 굽던 화덕 터, 음식물을 냉장 보관했던 석빙고 등이 남아있다. 2002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80호로 지정된 신성공소는 2003년 11월 시기동본당 설립 100주년을 맞아 국비와 전라북도 도예산을.. 2023. 12. 3. 44. 전주교구 신태인본당 진흥공소·옥단공소 회문산 교우촌에 숨어 살다 감곡으로 내려와 일군 형제 공소 전주교구 신태인본당 진흥공소는 회문산 교우촌에서 성 김대건 신부 동생인 김난식(프란치스코)과 함께 신앙생활을 했던 방흥석(안드레아)이 이주해와 설립한 유서 깊은 공소이다. 1977년 지어 봉헌한 진흥공소 전경.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甘谷面)에는 공소 2곳이 있다. 진흥리(眞興里) 진흥공소와 유정리(儒丁里) 옥단공소이다. 전주교구 신태인본당 관할 진흥공소는 감곡면 석점1길 43-1에, 옥단공소는 감곡면 옥신2길 17에 자리하고 있다. 감곡면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태인군 감산면(甘山面), 사곡면(師谷面), 은동면(銀洞面)을 합해 감산의 감(甘), 사곡의 곡(谷)자를 따서 ‘감곡’이라 했다. 진흥과 옥단은 형제 공소이다. 조선 왕.. 2023. 11. 26. 43. 전주교구 신태인본당 신기공소 마을 주민 모두가 천주교 신자인 신심 깊은 교우촌 전주교구 신태인본당 신기공소는 조선 왕조 치하의 박해가 끝나고 신앙의 자유를 얻은 후 산속에 피신했던 교우들이 평지로 내려와 일군 교우촌이다. 신기공소 전경 전주교구 신태인본당 신기공소는 전북 정읍시 태인면 거산신기1길 101에 자리하고 있다. 신기(新基)는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이다. 우리말로 ‘새 터’이다. 정읍과 태인 지역의 교우촌 대부분은 깊은 산 속 골짜기에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신기공소는 이들 교우촌과 달리 너른 벌판 한가운데 양지바른 곳에 터를 잡고 있다. 신기공소가 이렇게 거산리 벌판에 자리할 수 있었던 것은 박해 시기가 끝나고 신앙의 자유를 얻어 산속에 있던 교우들이 평지로 내려와 교우촌을 형성해 마음 놓고 신앙생활을 할 수 있었기 때.. 2023. 11. 26. 42. 전주교구 신태인본당 태인공소 모본당인 능교성당 옛 제대, 유구한 신앙 전통 웅변 전주교구 신태인본당 태인공소는 1935년부터 1954년까지 19년간 본당으로 지역 복음화의 중추 역할을 했던 공소이다. 태인공소 전경 2015년 건립된 새 공소(오른쪽)와 복원한 옛 공소 병인박해 이후 깊은 산속에 교우촌 형성 전주교구 신태인본당 태인공소는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산로 2924에 자리하고 있다. 태인면은 1409년 조선 태종 9년 태산현(칠보)과 인의현(백산) 두 고을을 병합해 ‘태인’이라 하고, 고을 터를 두 지역 중간 지점인 거산리로 옮겼다. 그리고 일제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군내면과 인곡면, 흥천면을 병합해 태인면으로 했다. 태인은 조선 시대 전라도 지역 유교 문화의 중심지로 많은 인물을 배출한 고장이다. 태인이 유교 문.. 2023. 11. 12. 41. 전주교구 칠보본당 동막공소 60년간 공소 건물 없이도 신앙 지킨 뿌리 깊은 교우촌 전주교구 칠보본당 동막공소는 병인박해 당시 경상도에서 피신한 교우들이 옹기 항아리를 구우며 일군 교우촌 공소로 지금까지 신앙의 명맥을 활기차게 이어오고 있는 유서 깊은 신앙 공동체이다. 동막공소 전경 전주교구 칠보본당 동막공소는 전북 정읍시 칠보면 동막길 49-24에 자리하고 있다. 칠보면은 일제가 우리나라 식민지 지배 체제를 굳히기 위해 1914년 행정 개편을 단행할 때 생긴 지명이다. 일제는 태인현 남촌일변면과 고현내면을 합쳐 칠보산(七寶山) 이름을 따 ‘칠보’라 했다. 호남정맥의 지맥인 칠보산은 내장산보다 알려지지 않았지만, 정읍의 진산(鎭山)이다. 산 북면은 가파르지만, 남면은 밋밋하다. 산 높이(해발 469m)에 비해 골이 깊어 예부터 피난.. 2023. 11. 12. 40. 전주교구 칠보본당 능교공소 모진 박해 속에서도 신앙 지키며 공소 설립 능교공소는 병인박해를 피해 노령산맥 깊은 산 속으로 피신해 교우촌을 이룬 김대건 신부 동생 김난식과 7촌 조카 김현채를 비롯한 충청도 교우들이 설립한 공소이다. 능교공소 전경 전주교구 칠보본당 능교공소는 전북 정읍시 산내면 능교신기길 12-10에 자리하고 있다. 조선 시대 태인현에 속했던 산내면은 노령산맥 줄기 안쪽 지역이라 해서 산내(山內)라고 했다. 능교리는 노령산맥 노적봉 아래 자리한 중산간 마을로 구절재 능교를 넘어가면 해마다 10월 정읍 구절초 축제가 열리는 ‘구절초 지방정원’이 나온다. 능교공소는 한국 가톨릭교회 근대사 안에선 ‘능다리공소’로 더 알려졌다. 능교공소는 1899년 당시 수류본당 주임이던 라크루 신부에 의해 설립됐다. 그리고 1929년 5.. 2023. 10. 29. 39. 전주교구 고산본당 되재공소 1896년 한국 교회 최초로 봉헌된 한옥 성당 전라북도 북부 지역 복음화 산실 역할을 했던 되재공소는 한국 교회에서 처음으로 지은 한옥 성당이다. 2009년에 복원한 되재공소 전라북도 북부 지역 복음화 산실 역할 전주교구 고산본당 되재공소는 전북 완주군 화산면 승치로 477에 자리하고 있다. 승치(升峙)의 우리말이 ‘되재’이다. 이 지역 고개가 매우 높아 ‘되고’, 지형이 마치 ‘됫박’을 엎어 놓은 것 같이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되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미서리, 미남리, 백암리 일부를 합해 ‘승치리’라 해서 전주군 운선면에 편입됐다가 1935년에 완주군 화산면에 속하게 됐다. 되재는 동으로 미륵산, 서로 예봉산, 남으로 성북리, 북으로 매봉산이 둘러싸고 있는 깊은 산간지대다. 고산은 전.. 2023. 10. 2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