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감상실]1176 교향곡 100선 [56] 모차르트 / 교향곡 29번 Symphony No.29 in A major, K.201 모차르트 / 교향곡 29번 A장조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모짜르트가 교향곡 분야에서 첫 작품을 쓴 것은 9세때 런던 방문에서 바하의 아들 크리스챤 바하의 영향을 받으면서 부터이다. 그의 초기의 작품, 특히 10대에 쓴 작품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제25번 G단조”와 이 “제29번” 두 작품이다. 1773년 7월에 17세의 모짜르트는 비엔나 궁정 음악가의 직책을 얻기 위해 부친과 더불어 고향인 잘쯔부르크에서 비엔나로 떠났다. 그러나 이 기간에 모짜르트는 음악적인 면에서 많은 것을 배웠고 그의 예술적인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교향곡이나 실내악 분야에서 작곡가로서 서서히 원숙성을 더해간 하이든의 작.. 2023. 8. 12. [60] 모차르트 / 피아노 소나타 11번 A 장조 '알라 투르카' Piano sonata No.11 in A major 모차르트 / 피아노소나타 11번 A장조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이 곡은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20곡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1악장은 테마와 6개의 변주로 되어있고 2악장은 미뉴에트 악장이며 3악장은 터키풍의 론도로 되어있는것이 특징이다. 3/4박자의 Trio가 있는 미뉴에트 이나, 그다지 무용곡 같은 성향은 없다고 볼 수 있다.고전주의 소나타가 유행하게 된데는 독주 악기로서의 피아노가 점차로 중요하게 부각되었기 때문이며 하이든, 모짜르트, 베토벤, 슈베르트로 이어지는 독주 소나타의 구조에서 3악장은 미뉴엣, 트리오의 복합3부형식이 나타난다.*미뉴엣, 트리오는 두개의 대조되는 춤곡으로 바로크 2부분 형.. 2023. 8. 12. [59] 모차르트 / 서곡 피가로의 결혼 Overture to Le Nozze Di Figaro, K.492 모차르트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서곡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아내를 죽였다는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갇힌 은행원 앤디의 20년에 걸친 탈옥 준비 이야기가 깔끔 하게 다루어졌던 영화 '쇼생크 탈출'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주인공이 교도소 방송을 통해 모 차르트의 오페라를 틀어 주는 장면이었다. 마이크를 통해 흘러나오는 음악을 듣던 죄수들의 얼굴 에 나타났던 평화로운 표정은 영화를 보던 사람들에게도 잠시 현실을 벗어나 안락감을 느끼게 해 주었다. 그리고 그 마술 같던 음악은 바로 이 ≪피가로의 결혼≫중에서 '편지의 이중창'이었다. 이 오페라는 18세기의 프랑스 극작가 보마르셰가 쓴 희곡을 다폰테라는 .. 2023. 8. 12. [58] 모차르트 / 세레나데 G 장조, K.525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Mozart-Serenade No.13 in G major KV 525 "Eine Kleine Nachtmusik" 모차르트-세레나데 13번 G장조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세레나데”란 일반적으로 흠모하는 사람의 창가에서 부르는 사랑노래를 얘기하는데 악기로 연주하는 음악에서도 세레나데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 곡은 보통 현악 합주로 연주되지만 현악 5중주로 연주되기도 한다. 1787년 빈에서 완성했으며, 화려하고 아름다운 멜로디로 그의 작품중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모차르트는 13개의 세레나데를 썼는데, 이 곡은 명랑하고 우아한 멜로디로 인해 널리 알려지고 인기가 높은 작품이다. 그가 31세이던 1787년 작곡된 이 곡의 제목 ≪아이네 클라이네 나하트뮤지크.. 2023. 8. 11. [57] 모차르트 / 디베르티멘토 D 장조 Divertimento No.17 in D major, K.334 디베르티멘토(희유곡) 제17번 D장조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모짜르트의 희유곡중 가장 대규모이며 또 잘 알려진 작품으로 1779년경 작곡되었으며, 잘쯔부르크에서 모짜르트 일가와 친분관계에 있던 명문귀족 로비니히가를 위해 쓰여졌다. 혼과 현5부의 치밀한 악기 구성을 지닌 세련되고 아름다운 음악이며, 전 6악장중 제3악장 메뉴에트는 모짜르트의 메뉴에트로 알려진 사랑스런 곡으로 단독으로 많이 연주된다. 디베르티멘토는 이태리어로 `기분전환`이나 `위로`를뜻하는 말로 가벼운 오락적 내용의 기악곡을 말하며 18세기 경 귀족이나 부유한 상류 사회에서 널리 연주되었던 곡, 흔히 4악장에서 10악장으로 이루어지고,.. 2023. 8. 11. [56] 모차르트 / 교향곡 41번 C 장조, K.551 '주피터' Symphony No.41 in C major, K.551 'Jupiter' 모차르트 / 교향곡 41번 C장조 '주피터'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모차르트 마지막 교향곡으로 착수한지 16일만에 완성되었지만, 내용이나 규모면 에서는 그가 쓴 기악곡 중 최고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주피터’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최고의 조물주 이름으로 이 작품의 창조적인 웅대함에 걸 맞는다고 할 수 있으나, 이 표제는 모차르트에 의한 것이 아니고 후세에 붙여진 것이다. 제 1 악장 알레그로 비바체, C장조, 4/4박자 소나타 형식 이 악장은 찬란한 태양빛을 연상케 하는 화려한 악장이다. 서주부가 없기 때문에 각 주제의 대비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서두에 총합주로 유명한 제1주제가 연주된.. 2023. 8. 11. 협주곡 100선 [55] 베른하르트 몰리크 / 오보에 협주곡 G 단조 Concerto for Oboe and Orchestr in G minor 베른하르트 몰리크 / 오보에 협주곡 G 단조 Bernhardt Molique (1802~1869, 독일) 몰리크(Bernhardt Molique,1802~1869, 독일)는 당대의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이며, 작곡가로 그가 남긴 작품이 많지 않지만 한개의 대규모 오라토리오와 실내악곡 등이 있다. I. Allegro vivace II. Adagio III. Allegro 2023. 8. 11. 협주곡 100선 [54] 랄로 / 첼로 협주곡 Cello Concerto D Minor Op.37 랄로의 첼로 협주곡 D단조 Op.37 Edouard Lalo (1823-1892) 에두와르 랄로의 이름을 널리 알려준 곡이 바이올린 협주곡(스페인교향곡)과 오직 하나 뿐인 첼로 협주곡 D단조 라고 합니다. 이 두 작품은 스페인 정취가 깊이 배어있고 독주 악기와 관현악기의 조화가 잘 처리되어 있다는 것과 작곡시기도 비슷하다는 공통점 을 가지고 있슴. 특히 지금 흐르고 있는 곡 첼로 협주곡은 탄탄한 구조와 이국 풍의 색채가 풍부한 선율로 근대 첼로 협조곡 가운데 백미로 평가되는 곡입니다.특히 랄로는 바이올린,비올라,첼로 연주등에 상당한 연주 실력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악기에 모두 능통했던 작곡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이름을 알려준 계기가 된 스페인 교향.. 2023. 8. 11. 협주곡 100선 [53] 안토니오 로티 : 오보에 다모레 협주곡 A 장조 Concerto for oboe d'amore, string, and ontinuo, in Amajor 로티 / 오보에 다모레 협주곡 A장조 Antonio Lotti (1667~1740) 이곡에 사용된 오보에 다모레는 오보에보다 단3도 낮은 A조 악기로 부드럽고 감미로운 음색을 갖고 있다. 오보에와 잉글리쉬 혼의 중간 크기로 끝부분이 볼록하다. 이 오보에족의 오보에 다모레는 바로크 시대에 널리 사용됐는데, 이후 폭넓게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Antonio Lotti 안토니오 로티(1667~1740 이탈리아) / 안토니오 로티는 성악가로서 음악생활을 시작하였고,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로서도 활동하였다. 따라서 그의 작품도 성악곡이나 교회음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오페라와 교회음악의 작곡가로서 높은 .. 2023. 8. 11. 협주곡 100선 [52] 루빈스타인 / 피아노 협주곡 4번 Piano Concerto No 4 in D minor Op 70 루빈스타인 / 피아노 협주곡 4번 Anton Grigoryevich Rubinstein 1829~1894 안톤 그리고리예비치 루빈시테인(Anton Grigorevich Rubinstein)은 현재(1944년 이후) 정식 이름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림스키코르사코프 음악원 (The N. A. Rimsky-Korsakov Saint Petersburg State Conservatory) 시대에 따라 과거 페트로그라드 음악원이나 레닌그라드 음악원으로도 불렸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Saint Petersburg Conservatory)을 1862년 설립한 19세기 러시아의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고 지휘자로 활동한 그는 어려서 재능을 보.. 2023. 8. 11. 협주곡 100선 [51] 살리에리 / 3중 협주곡 라장조 Triple Concerto for Violin, Oboe and Cello in D major 살리에리: 3중 협주곡 라장조 Antonio Salieri (1750 – 1825) 안토니오 살리에리는 1750년 이탈리아의 레냐고(Legnago,당시 오스트리아 영토)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부유한 상인이었으며, 유년기부터 음악에 재능을 보여 타르티니(Giuseppe Tartini)로부터 음악을 배웠던 그의 형인 프란체스코(Francesco)로부터 바이올린과 하프시코드를 배웠다. 부모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파두아(Padua),그리고 베니스(Venice)로 이사하였다. 베니스에서 당시 저명한 오르가니스트였으며 작곡가였던 죠반니 바띠스타 페세티(Giovanni Battista Pescetti)로 부터 화성악을 .. 2023. 8. 11. 관현악곡 100선 [55] 드뷔시 / 3개의 교향적 스케치 '바다' La Mer - Trois exquisses symphoniques, L.109 드뷔시 / '3개의 교향적 스케치' 바다 C. Achille Debussy 1862∼1918 작품 개요 교향시 는 곡의 표제에 3개의 교향적 스케치란 주석이 달려 있다. 이 곡은 그의 음악이 최고 수준에 달한 시기의 작품인데, 그의 명작 를 쓴 다음 해인 1903년에 시작하여 43세 때인 1905년에 완성하여 같은 해 10월, 파리에서 초연되었다. 는 3악장으로 되어 있는데, 하나하나 그 정경을 묘사했으며, 전체를 통하여 바다의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그가 바다를 매우 좋아했다는 이야기는 퍽이나 유명하지만, 그의 생애를 통하여 바다를 건너 여행하기는 단 한 번 영국에 갔을 때 도우버 해협을 건너 여행했을 따름이다. 그러나 위.. 2023. 8. 11.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