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회와 영성]/성미술이야기399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 성 요한 세례자 무리요, <어린 성 요한 세례자>, 1665년경, 캔버스에 유채, 121x99cm, 프라도 미술관, 마드리드. 성 요한 세례자(Joannes Baptistae, 1세기경)는 루카복음에서 “율법과 예언자들의 시대는 요한까지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처럼 예수님이 등장하기 바로 전에 활동하던 마지막 예언자이다. 성.. 2017. 7. 2.
위로의 아들 성 바르나바 베로네세, <마태오 복음서로 병자들을 치유하는 성 바르나바>, 1566년경, 캔버스에 유채, 260x193cm, 보자르 미술관, 루앙, 프랑스. 사도행전에 나오는 ‘위로의 아들’이라는 뜻의 성 바르나바(Barnabas, 1세기)는 키프로스 태생의 레위인으로 그의 원래 이름은 요셉이었다(사도 4,36). 성인은.. 2017. 7. 2.
[호기심으로 읽는 성미술] (2) 예수님의 거룩한 얼굴 ▲ 마노펠로 카푸친 수도원의 베로니카의 수건과 예수 그리스도의 초상을 비교한 도판. 베로니카의 수건의 초상을 기초로 예수님의 형상이 그려져 왔음을 알 수 있다 ▲ 이탈리아 마노펠로 카푸친 수도원에 있는 베로니카의 수건. 과학자들은 예수님과 동시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님께서 참 하느님이시며 참 인간이시라고 신앙으로 고백합니다. 요한복음서는 “말씀이 육신이 되셨다”(Verbum caro factum est. 「성경」은 ‘말씀이 사람이 되셨다’로 옮김)고 합니다. 니케아 신경은 하느님께서 “육신을 취하시어 사람이 되셨다”(incarnatus est et homo factus est)라고 선포합니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해 스스로 사람이 되신 이 역사적 사건을 교회는 ‘강생의 신비.. 2017. 6. 18.
[호기심으로 읽는 성미술] (1) 연재를 시작하며 알쏭달쏭했던 성미술 알고 보면 가톨릭 영성과 역사가 한눈에 미술의 형식보다 주제가 되는 내용을 연구하는 학문을 ‘도상학(圖像學, Iconography)’이라고 한다. 그중 그리스도교 미술(이하 성미술)의 주제와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그리스도교 도상학’이라 한다. 말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하듯이 성미술도 초기에는 단순한 의미의 회화적 형식에서 시작해 점차 신학과 사상, 사회, 문화적 정신을 반영해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호기심으로 읽는 성미술’은 성미술의 발전 과정을 교회 가르침을 바탕으로 교회사와 영성사, 시대사 안에서 들여다보고자 한다. 역사적 배경 속에서 성미술을 이해할 때 보다 풍부한 내용을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성미술이 품고 있는 다양한 기호들을 교회의 전통적 가르침과 .. 2017. 6. 4.
그리스도의 신비를 체험한 - 성녀 카타리나 폼페오 바토니, <시에나의 카타리나의 황홀경>, 1743년, 캔버스에 유채, 빌라 구이니지 박물관, 루카, 이탈리아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와 함께 이탈리아의 수호성인 시에나의 성녀 카타리나(Caterina da Siena, 1347-1380)는 1347년 이탈리아 시에나의 부유한 가죽 염색업자의 스물다섯의 자녀 .. 2017. 4. 30.
복음사가 - 성 마르코 틴토레토, <난파된 사라센 선원들을 구하는 성 마르코>, 1562-66, 캔버스에 유채, 398x337cm, 아카데미아 미술관, 베네치아 성 마르코(Marcus, 1세기경)는 로마에서 성 베드로의 가르침에 따라 「마르코 복음서」를 저술했다. 성인은 예수님의 열두 제자는 아니었지만, 예수님의 삶과 가르침.. 2017. 4. 30.
용감한 믿음의 기사 - 성 제오르지오 라파엘로 <성제오르지오와 용>, 1505-06년, 프레스코, 패널에 유채, 워싱턴 국립미술관 제오르지오(Georgius, 또는 게오르기우스)는 서기 303년경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대대적으로 그리스도교를 박해할 때 참수형을 당한 기사였다. 터키 중부의 카파도키아 출신인 제오르지오는 소년 .. 2017. 4. 30.
스콜라 철학의 아버지 성 안셀모 스콜라 철학의 대가로 손꼽히는 성 안셀모(Anselmo, 1033-1109)는 1033년에 이탈리아 피에몬테의 아오스타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엄격한 종교교육을 받은 성인은 15살에 베네딕토 수도원에 들어가기를 원했지만, 아버지의 반대로 뜻을 펴지 못했다. 그러나 부모님께서 모두 돌아가신 후, 1060년에 노르망디 벡(Bek)이란 지방에 있는 베네딕토 수도원에 입회하여 엄격한 수련과 함께 학문 연구에 힘썼다. 1067년에 수도원 학교 교장이 된 성인은 비상한 총명과 수단으로써 전 수도원을 다스리며 많은 저술을 남기며 종교 교육에 노력하여 명문 학교로 발전시켰다. 성 안셀모의 박학과 성덕에 대한 소문이 세상에 알려지자 많은 학생이 수도원에 몰려들었다. 그의 명성은 영국까지 전해졌고, 1093년에 영국 왕.. 2017. 4. 9.
베로나의 첫 주교 성 제노 안드레아 만테냐(Andrea Mantegna, 1431-1506)는 이탈리아 베로나에 있는 성 제노 성당의 제단화에서 성모자와 성인들을 주변 건축물과 이어지는 통합된 공간에 묘사하였다. 웅장하고 통일된 제단화에 기둥이 늘어선 건축물 입구에는 나뭇잎과 과실로 엮은 화환이 걸려 있고, 고대 건축물로 묘사된 배경에서 기둥 사이로는 하늘이 보인다. 이를 배경으로 성인들이 엄숙하게 서 있다. 중앙 패널의 높은 권좌에 앉아 있는 성모자의 양쪽에는 각각 네 명의 성인들이 성모자를 보호하고 있다. 성모자를 중심으로 성인들이 함께 있는 형식을 ‘사크라 콘베르사치오네(Sacra Conversazione, 성스러운 대화)’라 부른다. 화가는 성인들이 성모자를 중심으로 정확히 대칭을 이루는 구도와 원근법적 공간, 우아하고 아.. 2017. 4. 2.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카라바조, , 1596-97년, 135.5x166.5cm, 캔버스에 유채, 도리아 팜필리 미술관, 로마 성 요셉 (Josephus, 1세기경)은 과 에 나오는 예수님의 탄생과 예수님이 12살 때 성전에서 율법학자들과 논쟁을 벌이는 장면에서 잠깐 언급된다. 성인은 마리아의 남편이자 예수님의 양아버지로 의로운 사람이었으며, 다윗 왕의 후손으로 나자렛에서 살던 목수였다. 마리아와 약혼한 사이였던 성인은 그녀와 함께 살기 전에 마리아의 임신 소식을 전해 듣고 파혼할 생각을 하였으나, 하느님께서 천사를 통해 요?*“?하느님의 섭리를 깨닫게 해주셨다. “요셉은 주님의 천사가 명령한 대로 아내를 맞아들였다(마태 1,24).” 성 요셉은 하느님께서 모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실 예수님을 세상에 보내실 구원계획에 가장 훌.. 2017. 3. 26.
아일랜드의 사도 성 파트리치오 티에폴로, , 1746년경, 캔버스에 유채, 시립박물관, 파도바, 이탈리아 아일랜드에서 성 파트리치오(Patrick, 385년경-493) 축일인 3월 17일은 성 패트릭 데이(St Patrickʼs day)로, 이날 사람들은 가톨릭을 상징하는 초록색 의상을 입고 클로버를 가슴이나 모자 등에 붙이고 행진을 벌인다. 그 까닭은 어느 날 성인이 삼위일체 교리에 대해서 클로버 한 포기를 손에 들고 “보는 바와 같이 이것은 하나의 클로버이지만 끝은 세 잎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느님께서도 한 분이시지만 그의 위(位)는 셋으로 되어 있다.”라고 설명하였기 때문이다. 이 말씀을 들은 사람들은 삼위일체의 의미를 분명히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한다. 성 파트리치오는 385년경 스코틀랜드 기르바그의 독실한 가톨릭 집안에.. 2017. 3. 19.
어려운 사람들의 성인 로마의 성녀 프란치스카 구에르치노, , 1656년, 캔버스에 유채, 194x177cm, 사바우다 갤러리, 토리노, 이탈리아 1925년 교황 비오 11세는 성녀 프란치스카((Francisca Romana, 또는 프란체스카, 1384-1440)가 길을 갈 때마다 성녀의 수호천사들이 언제나 길을 인도하고 밝혀주었고 성녀를 위험에서 구해주었기에 성녀 프란치스카를 운전자들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이 때문인지 로마에서는 매년 3월 9일에, 수호성인의 은총을 몸소 체험하려는 마음에 자동차를 가지고 나오는 운전자들이 평소보다 많아 교통 체증이 다른 날보다 심하다고 한다. 이탈리아 바로크 시대의 화가 구에르치노(Guercino, 1591-1666)는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회의 요청으로 로마의 성녀 프란치스카를 주제로 제단화를 제작했다.. 2017.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