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감상실]1176

관현악곡 100선 [64] 레하르 / <금과 은> 왈츠 Gold and Silver Waltz, Op.79 레하르 / 왈츠 Franz Lehar (1870~1948) 마지막 희가극 「규디타」 속에 있는 왈츠인데, 레하르의 왈츠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대중적인 명왈츠이다. >태양에 금빛과 은빛으로 빛나는 물결을 묘사했고, 거기에 서정성을 담은 아름다운 왈츠이다. 레하르의 마지막 희가극인 '쥬디타'에 수록되어있는 왈츠곡인 '금과 은'은 금빛과 은빛으로 태양에 반짝이는 물결을 묘사했으며, 그 묘사 속에 서정성까지 담아낸 아름다운 작품입니다. 1899년 완성되어 레하르의 출세작이 되기도 한 이 작품은 그의 왈츠곡 중 가장 사랑을 받았던 곡으로, 수많은 종류의 빈 왈츠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손꼽힙니다. 왈츠곡 '금과 은'은 레하르가 도나우 강 기슭에서 보병연대 악장으로.. 2023. 8. 16.
관현악곡 100선 [63] 슈베르트 / 로자문데 서곡 Rosamunde Overture 슈베르트 / 로자문데 서곡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로자문데 [Rosamunde] 작품 26 작품번호 26. H.von 셰지의 극 《키프로스의 여왕 로자문데》를 위하여 작곡한 것으로 1823년에 완성, 빈에서 초연되었다. 서곡과 이에 이어지는 8곡, 즉 로맨스 로 이루어졌는데, 서곡과 그 이하의 곡들과는 각각 따로 연주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서곡을 제외한 부분을 로자문데라고 한다. 현재는 9곡 가운데 2개의 간주곡과 2개의 발레음악이 많이 연주된다. 극음악 '로자문데' 서곡 그가 26세인 1823년에 여류 작가 셰지의 희곡 '시페른의 여왕 로자문데'에 붙인 로맨틱한 음악이다. 여류 작가의 섬세한 감정 표현이 담긴 희곡을 로맨틱하게 .. 2023. 8. 16.
관현악곡 100선 [62] 리스트 / 교향시 '마제파' Symphonic Poem No.6 'Mazeppa'           리스트 / 교향시 '마제파'           Franz Liszt 1811∼1886 Symphonic Poem "Mazeppa" 마제파는 빅톨 유고의 東方의 詩에 나오는 카자흐 기병대의 대장이름이다. 마제파는 실존한 인물이며 그 내용의 실재에 대해서는 검증을 못했으나, 내용은 이렇다. 마제파는 귀족 출신으로 젊었을때 폴란드 국왕의 궁정에서 하인으로 있었다. 그런데 그곳에 어떤 젊은 백작 부인과 사랑의 정을 통하다 발각되었다. 백작의 노여움을 산 마제파는 말 잔등에 묶이어 황야로 추방되었다. 우크라이나 산과 들을 3일간이나 헤멘 끝에 다행히 카자흐 대원들에게 구조되어 그 곳의 병사로 입대하게 된다. 그후 영웅적인 행동으로 카자흐의 사.. 2023. 8. 16.
관현악곡 100선 [61] 림스키코르샤코프 / 러시아 부활제 서곡 Russian Easter Festival Overture, Op.36 림스키코르샤코프 / 러시아 부활제 서곡 Nikolai Andreyevich Rimsky-Korsakov 1844~1908 "러시아 부활제 서곡"은 "스페인 기상곡", "세헤라자드"와 함께 림스키-코르샤코프의 관현악의 걸작으로 작곡 연대도 앞의 것들과 거의 같은 무렵이며 그의 관현악법이 원숙한 시기에 속한다. 원제는 "일요일 서곡 찬란한 축일"이었으나, 러시아에서는 부활제를 "찬란한 축일"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러시아 부활제 서곡" 이라고 부르고 있다. 곡은 러시아 정교회의 성가집 "오비호드"(Obichod) 가운데의 몇 가지 가락을 바탕으로 했으며, 작곡자는 자서전에서 "수난의 토요일" 저녁 무렵의 음울하고 신비스러운 기분.. 2023. 8. 16.
교향곡 100선 [65] 쇼스타코비치 : 교향곡 제1번 Symphony No.1 in F minor, Op.10 쇼스타코비치 : 교향곡 제1번 Dmitry Shostakovich, 1906~1975 교향곡 1번 f단조 작품 10은 1923년에서 착수하여 1925년에 완성한 작품으로 초연은 1926년 5월 12일 레닌그란드 필하모니 대강당에서 마리코가 지휘하고 레닌그란드 필하모닉 교향악단의 연주로 이루어졌습니다. 악기 편성은 피콜로(3풀루트와 겸함), 풀루트 (제 2는 피콜로와 겸함), 오보에2, 클라리넷2, 파곳2 호른 4, 트럼펫2 , 트럼펫 콘트랄토, 트럼본3, 튜바, 팀파니, 큰북, 작은북, 심벌즈, 트라이엥글, 탐탐, 글로켄슈필, 피아노 , 현 5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925년 쇼스타코비치가 19살의 나이로 페테스부르크 음악원을 졸업하면서 졸업작.. 2023. 8. 15.
하이든 오라토리오 천지창조 The Creation 하이든 / 천지창조 Joseph Haydn (1732 - 1809) 우주적 관점의 클래식 오라토리오: 요제프 하이든(Joseph Haydn)의 Die Schöpfung(The Creation), 네덜란드 실내 합창단과 클라스 스토크가 지휘하는 콘체르토 담스테르담(Concerto D’Amsterdam). 공연은 2009년 5월 21일 네덜란드 콘세르트헤바우(Concertgebouw Amsterdam)에서 열렸다. 이 영상의 특별한 점은 콘서트 영상에 허블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와 하이든 시대의 그림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세상의 창조에 대한 하이든의 오라토리오는 우주적 관점을 가진 매혹적인 콘서트 경험이 됩니다. 요제프 하이든(Joseph Haydn, 1732 - 18.. 2023. 8. 15.
교향곡 100선 [64] 하이든 / 교향곡 1번 Symphony No.1 in D major 하이든 / 교향곡 1번 Franz Joseph Haydn (1732∼1809) 하이든이 언제 어디서 어떠한 기회에 최초의 교향곡을 작곡했는가는 현재의연구 단계로서는 확실히 알 수 없습니다. 예전부터 하이든과 친교를 맺고 있던 A. 그리징거는 하이든이 죽은 해)1809)에 라이프치히의 '종합 음악 신문'에 '요제프 하이든의 전기적 기술' 이란 글을 연재했는데, 이것이 그의 최초의 교향곡에 대한 율일한 역사적 자료입니다. 그리징거는 하이든이 1759년에 모르친 백작가의 음악감독으로 취임했을 때에 최초의 교향곡을 작곡햇다고 서술하며 "제1교향곡'의 첫 2마디를 인용하였습니다. 이 보고에 의해서 은 하이든의 최초의 교향곡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습니다.그러나 그리징거가.. 2023. 8. 14.
교향곡 100선 [63] 하이든 / 교향곡 제7번 C장조 '점심' Symphony No.7 in C major 'Le Midi' 하이든 / 교향곡 제7번 C장조 '점심' Franz Joseph Haydn (1732~1809) 1761년경 하이든이 에스테르하지 후작 가의 부악장 시절에 쓰여진 이 제6, 7, 8번 교향곡은 고전형식의 4악장 구조이다. 7번은 2개의 바이올린과 첼로로 된 트리오 소나타의 악기 편성과 동일하고, 콘체르티노(concertino)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작품은 바로크의 쿤체르티노(concertino)와 유사하다 하이든 자신에 의해 '아침, 낮, 밤'으로 표제가 붙은 이 작품들은 부제의 의미를 음악에서는 찾을 수 없다 새로운 교향곡의 양식을 창조해 내려고 의욕적으로 노력한 하이든의 최초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 Adagi.. 2023. 8. 14.
교향곡 100선 [62] 하이든 / 교향곡 8번 '저녁' Symphony No.8 in G major 'Le Soir' 하이든 / 교향곡 8번 '저녁' Franz Joseph Haydn (1732∼1809) 1761년, 에스테르하지 궁정에 들어가서 작곡한 제6, 7, 8번 교향곡은 고전형식의 4악장 구조이다. 7번은 2개의 바이올린과 첼로로 된 트리오 소나타의 악기 편성과 동일하고, 콘체르티노(concertino)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작품은 바로크의 쿤체르티노(concertino)와 유사하다. 제6, 7, 8번에는 각각 , , 등의 제목이 붙어 있는데, 제목과 같은 표제적인 특성이 음악에서 발견되지는 않는다. 1. Allegro molto 2. Andante 3. Menuetto and trio 4. La Tempesta, presto 2023. 8. 14.
교향곡 100선 [61] 슈베르트 교향곡 제2번 Symphony No.2 B flat major D.125 슈베르트 / 교향곡 내림나장조 Franz Peter Schubert,1797~1828) 교향곡 2번은 첫 번째 교향곡 이후 거의 정확하게 1년이 경과한 뒤에 작곡에 착수되었습니다. 슈베르트는 이 두 곡 사이에 미사 F장조와 가곡 등과 같은 많은 곡들을 작곡하였지만, 이 두 교향곡 사이에는 그렇게 커다란 형식적 차이가 보이지 않습니다. 우리는 교향곡 2번을 통해 이것이 새로운 출발점이 아니라, 이후 상당한 정도에 걸쳐 슈베르트에게 아주 긴요하고 적합하게 쓰이게 될 제기법들을 견고하게 하는 계기라는 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관현악 또한 제2플루트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1번 교향곡과 동일합니다. 이 곡에서도 마찬가지로 느린 도입부가 있습니다. 이것은.. 2023. 8. 14.
협주곡 100선 [60] 네루다 / 바순 협주곡 C 장조 Concerto for Bassoon, 2 violins, viola & basso continuo in C major 네루다 / 바순 협주곡 C 장조 Johann Georg Neruda, 1707-1780 네루다(Johann Georg Neruda, 1707-1780)는 보헤미아 출신의 바이올린 주자로서 프라하와 독일에서 지휘자로, 고전주의 시대의 탁월한 작곡가의 한사람으로서 종교 작품들을 비롯한 18곡의 교향곡, 바순 협주곡과 트럼펫 협주곡을 포함한 14곡의 협주곡, 몇몇 트리오 소나타를 작곡했다. I. Spiritoso II. Adagio III. Tempo di menuet 2023. 8. 14.
협주곡 100선 [59] 비발디 / 피콜로 협주곡 C장조 Piccolo Concerto in C major, RV.443 비발디/피콜로 협주곡 C장조 Antonio Vivaldi (1678∼1741) 작은 풀루트라고 할 수 있는 피콜로는 플루트의 음 높이보다 더 높은 음을 얻기 위해 만들어진 악기이므로 관의 길이가 플루트의 반이고 음역은 플루트의 1옥타브 위를 낼 수 있다. 오케스트라에 쓰이는 악기 중에서 가장 높고 선명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데, 보통 풀루트의 연주자 중에서 한 사람이 중간에 피콜로로 바꾸어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취주악에서는 유일한 고음악기로서 없어서는 안 될 악기이며 빛나는 듯한 화려한 음을 지녔으나 그 음역의 높이와 함께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관현악에서는 특별한 효과를 낼 때만 쓰인다 . 1악장 Allegro non molto 2악장 .. 2023.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