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감상실]1176

[81] 시벨리우스 / 교향시 핀란디아 Symphonic Poem Finlandia Op.26 시벨리우스 / 교향시 '핀란디아' Jean Sibelius (1865∼1957) 시벨리우스 / 교향시 '핀란디아' 조국 핀란드에 대한 시벨리우스의 열렬한 찬가로서 그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명곡이다. 핀란드는 약소 국가로 13세기 경부터 19세기 초까지는 스웨덴, 그 이후엔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다. 핀란드의 역사는 항상 스웨덴과 러시아의 공포에 노출되는 운명에 있었다. 이 곡이 쓰여진 당시에도 러시아의 지배하에 있었고 그 압정에 시달리고 있었다. 무수한 호수와 삼림이 엮어내는 아름다운 조국의 자연을 찬양한 이 교향시는 곤경에 허덕이는 전국민의 애국심을 한껏 부추기는 애국가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정치적인 배려에서 걸핏하면 연주금지라는 사태까.. 2023. 9. 28.
[80] 슈만 / 어린이의 정경 Kinderszenen Op.15 슈만/피아노곡 어린이 정경 Schumann, Robert 1810~1856 독일의 작곡가 슈만의 피아노곡(작품번호 15). 1838년에 작곡된 것으로 〈미지의 나라들〉 〈신기한 이야기〉 〈술래잡기〉 〈보채는 어린이〉 〈만족〉 〈큰 사건〉 〈트로이메라이〉〈난롯가에서〉 〈목마의 기사〉 〈약이 올라서〉 〈거짓말〉 〈어린이는 잠들다〉 〈시인의 이야기〉 등의 제목이 붙은 13편의 소곡으로 이루어졌다. 표제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어른들이 품은 어린시절의 추억으로 가득 차 있으며, 그 낭만적인 추억들이 곧 음악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 특히 제7곡 〈트로이메라이〉가 유명하며 바이올린독주곡 등으로 편곡되어 있다. '어린이 정경'은 1838년 작곡된 총 13곡의 피아노 소곡으.. 2023. 9. 26.
[79] 슈베르트 / 악흥의 순간 Moments Musicaux, D780 슈베르트 / 악흥의 순간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정식으로 피아노를 배운 적도 없고 죽기 1년 전까지 자기 소유의 피아노를 갖지 못했던 슈베르트였지만 그는 100여곡의 피아노 작품을 남기며 피아노 음악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슈만이 그를 가리켜 '피아노를 피아노답게 다룰 줄 아는 사람' 이라고 평했을 만큼 슈베르트는 이 악기의 특성을 제대로 간파하고 있었다. 그러한 슈베르트의 피아노 작법은 소나타와 같은 구성적인 대작에서 보다는 오히려 이나 같은 소품들에서 더 개성적으로 표현되었다고 보는 의견이 지배적인데, 특히 이 은 그의 기묘한 선율미가 더욱 살아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I. Moderato C장조. 복합 3부 형식으로 .. 2023. 9. 26.
[78] 슈베르트 / 즉흥곡 Impromptu D.899 Op.90 슈베르트 / 즉흥곡 Franz Schubert 1797∼1828 No.1 Allegro molto moderato in c minor 가요적인 주제로 엮어진 곡으로 일종의 변주곡으로 볼 수 있을 만큼 곡의 전개가 자유분방하고 즉흥적이다. 슈베르트의 예술가곡에서 보여지는 그 아름다운 가락이 한없이 흐른다. 소나타 형식이 아니면서도 슈베르트 소나타 악장 특유의 스타일을 자랑한다. 반주 없는 행진곡 리듬이 제시되고 잔잔한 물결을 연상시키는 경과구가 물감이 번지듯 공간을 채색하며 이윽고 앞선 주제의 화려하고 새로운 발전을 마지막으로 끝맺는다. No.2 Allegro in E flat major 오른손은 쉴새없이 가볍게 패시지를 연주하고 왼손이 화음을 짚어 주다가 중간부에서.. 2023. 9. 26.
[77] 슈베르트 / 피아노 5중주 A 장조 '송어 Piano Quintet in A "The Trout", D.667 슈베르트 : 피아노 5중주 A장조《송어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슈베르트(1797~1828)는 22세이던 1819년 여름 당대의 명 바리톤 가수 요한 포글(Hohann Vogl) 과 함께 북부 오스트리아 지방으로 피서를 겸한 연주여행을 떠났다. 슈베르트가 아직 세상에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았을 때 이미 성악가로 명성이 높았던 포글은 연가곡[겨울 나그네]를 비롯, 수많은 슈베르트의 가곡을 소개해 그의 재능이 뛰어남을 알렸던 최초의 위대한 가수였다. 슈베르트는 그를 위해 많은 가곡을 작곡하여 주기도 하여 서로 친한 사이가 되었다. 이들이 친하게 된 것은 [슈베르티아데]라고 하는 슈베르트를 돕기 위한 모임을 통.. 2023. 9. 26.
협주곡 100선 [80] 생상스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B단조 Violin Concerto No. 3 in B minor, Op. 61 생상스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B단조 Camille Saint-Saens (1835-1921) 생상스의 3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대표하는 제3번은1880년 작곡되어 사라사테에게 헌정되었고 초연도 사라사테에 의해 이루어졌다. 아름다운 선율미와 균형잡힌 형식미를 지닌 이 작품은 현의 트레몰로로 시작되는 제1악장, 바이올린이 명인기를 펼치는 활기찬 제3악장도 좋지만 서정적인 제2악장이 매력적이다. 관악기와 함께 나오는 뱃노래풍의 목가적 주제가 아름다우며 바이올린의 플래절랫 주법에 의해 플루트와 비슷한 음색을 내는 끝 부분이 인상적이다. I. Allegro non tropo II. Andatinino quasi allegretto II.. 2023. 9. 25.
협주곡 100선 [79] 모짜르트 / 플룻 협주곡 No.2 Flute Concerto No.2 D major< 모차르트 / 플룻협주곡 제2번 D장조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작품 구성 및 해설 모차르트가 네덜란드 출신의 플루트 주자 드 장의 의뢰를 받고 작곡한 두 곡의 플루트 협주곡 중 두번째 곡으로서, 이전에 작곡한 오보에 협주곡 C장조를 조옮김 하여 개작한 곡이지만 원곡인 오보에 협주곡보다 훨씬 널리 연주되고 있다. 조성이 말해주듯 약동하는 활기로 넘치는 곡으로서, 특히 3악장의 장식적인 제1주제는 선율선이 예외적으로 길면서도 어느 한 군데 손댈 수 없는 매력을 간직 하고 있다. 1악장 Allegro apperto D장조, 4/4박자 소나타 형식 처음에 관현악에 의해 주제가 제시되는 제시부가 나오지만 밝고 경쾌한 제1주제.. 2023. 9. 25.
협주곡 100선 [78] 텔레만 / 호른 협주곡 Concerto in F Major for Two Horns 텔레만 /호른 협주곡 Georg Philipp Telemann, (1681∼1767) 18세기 초기와 중기에 활동한 게오르크 필립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은 당시 독일 최고의 작곡가였다. 4000여 곡 이상의 방대한 작품에는 바로크와 전 고전주의 양식의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음악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텔레만은 창작은 물론이고 연주와 이론, 음악교육 모두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텔레만은 방대한 양의 작품을 창작했을 뿐만 아니라 20여 명에 이르는 당 시대 작곡가들의 작품의 편집 출판하였다. 텔레만의 오라토리오는 바로크 양식에 기초하고 있지만 전기 고전파 양식의 특징이 나타나는 진보성을 갖고 있다. 종교음악이라 해도.. 2023. 9. 25.
협주곡 100선 [77] 주세페 페를렌디스 / 오보에 협주곡 3번 C 장조 Oboe Concerto No.2 in C major 주세페 페를렌디스 / 오보에 협주곡 3번 C 장조 Giuseppe Ferlendis (1755~1810) 베르가모 출신의 이탈리아 작곡가 주세페 페를렌디스(1755~1810) 18세기 후반유럽 최고의 명성을 날렸던 오보에 및 잉글리시 호른의 비르투오조로 2악기의 연주 테크닉에 큰 족적을 남겼다.1777년 찰스부르그 궁정의 오보에 독주자가 되어 모자르트와 깊은 우정을 나누었으며 「모자르트의 오보에 협주곡 KV314」는 바로 그를 위해씌어진 것이다. 페를렌디스가 쓴 오보에 협주곡은 빈 고전파의 우아함과 함께 이탈리아의 열정이 담겨 있어서 독특한 느낌을 주며, 오보에, 플루트, 바순을 위한 6곡의 트리오는 목관 앙상블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매력적인 소품.. 2023. 9. 24.
협주곡 100선 [76] 브람스 /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Violin Concerto in D major 브람스 /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Johannes Brahms, (1833-1897) 20세기 바이올린 역사에서 가장 아깝게 요절한 천재로 기록되고 있는 지네트 느뵈 (Ginette Neveu). 이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은 지네트 느뵈가 30세의 나이에 불의의 비행기 사고로 세상을 뜬 해인 1949년 녹음 된 연주곡. 전 악장을 휘몰아 치는 타오르는 열정과, 따뜻한 심성이 녹아든 아름다운 시정...그녀의 맑은 영혼이 배어 있다. 그러나 불꽃 튀는 열정 뒤의 쓸쓸함은 예감적 슬픔일까.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어릴 때 부터 음악적 재능이 뛰어나 바이올린 교사였던 어머니로부터 음악의 기초를 배우고 5세 때 린 탈뤼엘의 강좌에 입학하여 바이올린을 배웠다. 193.. 2023. 9. 24.
관현악곡 100선 [80] 베르디 / 개선행진곡 <오페라 '아이다' 중> 'Grand March' Opera Aida 베르디 / 개선행진곡 Giuseppe Fortunino Francesco Verdi, 1813∼1901 수에즈 운하의 개통을 축하하기 위하여 1869년 이집트 국왕이 의뢰한것으로, 오페라의 줄거리에 흥미를 느껴 작곡을 하였다. 그후 1872년 밀라노의 스칼라 극장에서 자신의 지휘로 상연되어 크게 성공을 거두었던 작품으로, 가극 아이다 중 ‘개선행진곡’은 2막 2장에 나오는 이집트군의 승리를 거두어 개선하는 즉 전승을 축하하는 트럼펫 행진곡이다.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Aida)" 베르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4막 7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869년 11월 수에즈운하 개통을 기념하여 당시 이집트왕이 카이로에 건립한 오페라극장 개장식을 위해 10만 프랑의 사.. 2023. 9. 24.
관현악곡 100선 [79] 스메타나 / 오페라 팔려간 신부 서곡 Overture to Prodana nevesta 스메타나 / 오페라 팔려간 신부 서곡 Smetana, 1824 ∼ 1884, 체코 Overture(서곡) 서곡은 화려한 악곡의 팡파르로써 연극의 시작을 알리는 데서 유래하는데, 곧 어떤 오페라, 오라토리오, 발레, 연극 혹은 다른 대규모의 작품에 대해 작품의 본 연주가 시작되기 전에 그 내용을 미리 간략히 소개하는 음악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이 용어는 종종 극음악이나 표제음악인 하나의 독립된 합주음악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멘델스존의 과 거쉬인의 같은 작품이 그 예이다. 첫 번째 공식적인 오페라 서곡은 륄리의 프랑스 오페라에서 시작되었는데, 이것은 장려한 리듬의 악구로 시작하고 이어서 주선율을 모방하는 빠른 악구가 잇따르는 악곡형식을 갖고 있다. 이탈리아.. 2023.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