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감상실]1176

실내악 100선 [6] 드보르작 / 현악 4중주 6번 바장조 "아메리카" String Quartet No.6 in F major, Op.96 "American" 드보르작 / 현악 4중주 6번 바장조 "아메리카" Anton Dvorak (1841-1904) 드보르자크는 듣는 이의 가슴에 스며드는 수많은 명작을 남겼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인기가 높은 것은 그가 미국에 체재할 때 작곡된 것이 많다. "신세계 교향곡" 이나 "첼로 협주곡" 그리고 이 현악 4중주 "아메리카"를 들 수 있다. 이 4중주곡은 수법이 간결하지만 싱그러운 실내악의 기쁨을 느끼게 하는 그 필치에 실내악 작가로서의그의 면목이 생생하게 나타나 있다. 이곡은 신세계로부터 에 못지않는 내용을 갖고 있으며 그는 이 곡을 만듦으로써 완전히 미국음악의 정신을 파악했다고 믿고 있다. 드보르자크의 현악4중주곡은 모두 13곡이 .. 2012. 6. 28.
실내악 100선 [5] 차이코프스키 / 피아노 삼중주 A단조 `어느 위대한 예술가의 추억` Trio for Piano, Violin and Cello in A minor, Op.50 'In Memory of the Great Artist' 차이코프스키 / 피아노 삼중주 '어느 위대한 예술가의 추억' Pyotr Il'ich Tchaikovskii (1840∼1893) 이 작품에서 '어느 위대한 예술가' 란 다름아닌 니콜라이 루빈스타인(Nikolai Grigor'evich Rubinstein, 1831~1881) 이다. 모스크바 음악원의 초대 원장이기도 했던 그는 차이코프스키를 이 학교에 불러 교편을 잡도록 주선한 장본인 이기도 하고, 간간이 혹평을 아끼지 않았던 스승이었다. 1881년 루빈스타인의 작고 소식을 들은 차이코프스키는 그때까지 한 번도 쓰지 않았던 피아노 3중주의 형식을 빌려 스승을 .. 2012. 6. 27.
실내악 100선 [4] 슈베르트 현악 4중주 14번 D단조 D810 "죽음과 소녀" String Quartet No.14 in D minor, D810 "Death and Maiden" 슈베르트 / 현악 4중주 14번 "죽음과 소녀"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슈베르트는 모두 15곡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했는데 24세 때에 쓴 제12번 c단조 이후의 4곡이 내용도 충실하고 그의 성숙된 음악성을 잘 보여준다. 그 중에서 이 현악 4중주 제14번 "죽음과 소녀"가 절정기에 쓰여진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다른 대부분의 실내악곡이나 기악곡에서 볼 수 있듯이 현악 4중주곡에 있어서도 슈베르트는 베토벤과는 달리 심각한 사상이나 인생관보다는 다분히 낭만적인 요소가 강해서 개인적인 감상을 노래하듯 들려준다. 현악 4중주 제14번에 "죽음과 소녀"라는 부제가 붙은 .. 2012. 6. 26.
실내악 100선 [3] 베토벤 / 피아노 3중주 7번 "대공" Piano Trio No.7 in Bb major, Op.97 'Archduke' 베토벤 / 피아노 3중주 7번 "대공"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G.) 베토벤의 피아노 3중주 '대공'과 슈베르트 피아노 3중주 1번 음반. 작곡된지 겨의 백년이 지난 1926년에야 겨우 녹음이 이루어진 이 슈베르트의 B플랫 트리오 녹음은 처음 출시될 때부터 열렬한 환영을 받았으며 레코드 역사의 초창기를 빛내준 실내악 녹음의 하나이다. 전설적인 세 명의 연주자 -코르토, 티보, 카잘스-로 이루어진 트리오는 25년간이나 함께 모여 연주했다. 솔로 연주자로서의 개성을 발현하는 와중에도 그들은 한 해에 몇 주 정도 함께 연주했다. 음악사에 길이 빛날 카잘스 3중주단 (Casals Trio)으로서.. 2012. 6. 25.
실내악 100선 [2] 하이든 / 현악사중주 62번 C 장조 "황제" String Quartet No.62 in C major, Op.76 No.3 'Kaiser' 하이든 / 현악사중주 62번 "황제" Franz Joseph Haydn 1732∼1809 하이든은 1792년에는 빈에서 베토벤을 만나 그를 지도하였고, 1795년 에스테르하지가(家)를 위해 궁정 악장직을 다시 맡고 니콜라우스 2세와 그의 부인을 위하여 6편의 미사를 작곡하였다. 그밖에도 몇 편의 현악 4중주와 종교음악, 영어로 된 6편의 시편송을 작곡하였고, 1797년에는 '황제의 찬미가'로 알려진 를 작곡하여 황제의 생일에 헌정하였다. 이 작품은 오스트리아 국가로 사용되다가 1922년에 민네징거의 시에서 채택된 새 가사가 붙여졌고, 히틀러 통치 기간에는 나치당의 파티 노래로 쓰였으며 1990년에는 또다른 가사.. 2012. 6. 24.
실내악 100선 [1] 슈베르트 / 피아노 5중주 '송어' Schubert, Piano Quintet Op.114, D667 'The Trout'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송어'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슈베르트(1797~1828)는 22세이던 1819년 여름 당대의 명 바리톤 가수 요한 포글(Hohann Vogl) 과 함께 북부 오스트리아 지방으로 피서를 겸한 연주여행을 떠났다. 슈베르트가 아직 세상에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았을 때 이미 성악가로 명성이 높았던 포글은 연가곡[겨울 나그네]를 비롯, 수많은 슈베르트의 가곡을 소개해 그의 재능이 뛰어남을 알렸던 최초의 위대한 가수였다. 슈베르트는 그를 위해 많은 가곡을 작곡하여 주기도 하여 서로 친한 사이가 되었다. 이들이 친하게 된 것은 [슈베르티아데]라고 하는 슈베르트를 돕기 위한.. 2012. 6. 23.
로드리고 / 어느 귀인을 위한 환상곡 Rodrigo / Fantasia para un Gentilhombre 로드리고 / 어느 귀인을 위한 환상곡 Joaquin Rodrigo (1901~1999) 전악장 연주 Pepe Romero, Guitar Academy of St. Martin-in-the-Fields Neville Marriner, Conductor 1악장 Villano y Ricercare (Adagietto - Andante moderato) 2악장 Espanoleta y Fanfare de la caballeria de Napoles (Adagio - Allegretto molto ritmico) 3악장 Danza de la hachas (Allegro con brio) 4악장 Canariosegro ma non troppo) .. 2012. 6. 22.
모짜르트 / 교향곡 제38번 "프라하" Symphony No.38 in D Major, K.504 'Praque' 모차르트 교향곡 제38번 라장조 K.504 "프라하"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마지막의 이른바 3대 교향곡에 앞선 이 작품은 통칭 「프라하」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명칭은 『피가로의 결혼』의 대성공에 의해서 프라하로 초청된 모짜르트가 이 피가로의 땅에서 초연하기 위해 작곡했다고 생각된 데에서 생겨난 것으로 곡의 내용 자체와는 관계가 없는 것이다. 더우기 현재에는 이 교향곡이 프라하를 위해서 작곡되었다고 하는 설에는 의문도 제기되어 있다.하여간 프라하를 방문한 모짜르트가 이 「라 장조 교향곡」을 연주한 것은 사실이며, 내용과는 관계 없이 초연한 땅의 이름을 따서「프라하」라고 불리.. 2012. 6. 16.
훔멜 / 바순 대협주곡 F 장조 Grand Concerto in F major For bassoon & orchestra 훔멜 / 바순 대협주곡 F 장조 J. N. Hummel 1778-1837 Donatien Bachmann, Bassoon Teresa Riveiro Böhm, Conducting Kammerorchester Basel 1.Allegro moderato (10:53) 2.Romanza- Andantino e cantabile (05:50) 3.Rondo-Vivace (06:28) 훔멜이 작곡한 바순 협주곡은 18세기적인 고전주의 양식으로 쓰여진 선율이 풍부한 작품이다.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을 취하고 있고 첫 악장은 4분음표의 예리한 스타카토로 연주되는 제2주제와 훨씬 더 정적인 제1주제가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연.. 2012. 6. 10.
슈포어 / ♬교향곡 9번 '4계' Symphony No.9 in B minor, Op.143 'The Seasons' 슈포어 / 교향곡 9번 '4계' Louis(Ludwig) Spohr 1784~1859 Louis(Ludwig) Spohr 루이스 슈포어 (1784.4.5~1859.10.22) 브라운슈바이크 출생으로 피아니스트겸 가수인 어머니와 풀룻 연주가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1790년 최초로 작곡을 시작했으며, 그의 바이올린 선생 듀포가 그의 재능을 발견하여 좀 더 차원높은 음악공부를 할 것을 권유했다고 한다. 생전에는 베토벤을 능가하는 위대한 작곡가로 칭송받았으며, 이탈리아의 파가니니와 견줄 만한 연주자로도 꼽혔다. 어려서부터 바이올린과 체계적인 음악이론을 공부한 덕에 바이올린 연주자로서의 그의 데뷔는 화려했고, 또한 여러 방면에.. 2012. 6. 10.
슈베르트 / 교향곡 제2번 B flat장조 Symphony No. 2 in B flat major, D. 125 슈베르트 / 교향곡 제2번 B flat장조 I. Largo - Allegro Vivace II. Andante III. Menuetto - Allegro Vivace IV. Presto Vivace 교향곡 2번은 첫 번째 교향곡 이후 거의 정확하게 1년이 경과한 뒤에 작곡에 착수되었다. 슈베르트는 이 두 곡 사이에 미사 F장조와 가곡 바다 에서 Am See 등과 같은 많은 곡들을 작곡하였지만, 이 두 교향곡 사 에는 그렇게 커다란 형식적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교향곡 2번을 통해 이것이 새로운 출발점이 아니라, 이후 상당 한 정도에 걸쳐 슈베르트에게 아주 긴요하고 적합하게 쓰이게 될 제기법 들을 견고하게 하는 계기라는 점을 발견.. 2012. 6. 9.
라흐마니노프 / 라일락 (`Lilacs` Op.21,no.5, arr. for piano solo, Op.68) 'Lilacs' Op.21,No.5, arr. for piano solo , Op.68 라흐마니노프 / 라일락 Sergei Rachmaninov 1873∼1943 Rachmaninov - Lilacs, song for voice & piano Op. 21/5 Sergei Rachmaninov piano 2012.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