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설명)
▲작가 미상, 성령강림(비잔틴 시대, 그리스 성 루카 수도원 돔 모자이크)
▲작가 미상, 성령강림(12세기,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 돔 모자이크)
▲티치아노, 성령강림 (1570년경 유화, 베네치아 구원의 성모 성당)
▲엘 그레코, 성령강림(1604~1614, 스페인 마드리드 프라도미술관)
4일은 예수부활대축일을 지낸지 만 50일째 되는 날이다. 교회는 예수께서 부활한 후 50일째 되는 이 날에 성령께서 사도들에게 강림한 것(사도 2,1-13)을 기념해 '성령강림대축일'을 지낸다. 부활 제7주간이 끝나는 날인 이 날은 예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부어 주심으로써 '그리스도의 파스카'를 완성시키신다. 그래서 교회는 성령강림대축일로 '부활시기'를 끝내고 '연중시기'로 들어간다.
성령강림대축일은 '교회 설립 기념일'이다. 성령강림 이후 사도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만백성에게 선포하기 시작했다. 그리스도와 성령의 사명은 그리스도의 몸이며 성령의 궁전인 교회 안에서 성취된다. 성령께서는 교회 안에서 신자들에게 부활하신 주님을 보여주고, 그분 말씀을 상기시켜 주며,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이해시켜준다.
성령강림대축일을 맞아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을 따르는 새로운 삶의 열매를 맺을 수 있길 희망하며, 성령강림을 묵상할 수 있는 동ㆍ서방 교회 성화 양식을 소개한다.
<사진 자료 제공 = 한국교회사연구소>
▨ 동방교회- 비잔틴 양식 모자이크
6세기부터 발달한 비잔틴 성화의 특징은 작가의 개인적 취향에 따라 표현된 것이 아니라 교회의 엄격한 통제 아래 획일적으로 제작됐다는 점이다. 그래서 비잔틴 시대 성당의 성화, 즉 이콘과 모자이크 등은 모든 똑같은 형태와 색상을 띄고 있다.
'성령강림'모자이크는 루카 복음사가가 묘사(사도 2,1-13)한 내용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모자이크란 돌, 유리, 조개껍질 등으로 작게 조각을 내어 무늬나 회화를 구성해 건축물 또는 공예품 표면에 접착제로 붙인 것을 말한다.
모자이크 제일 상단에는 흰색 비둘기 모양의 성령께서 12 사도들에게 12개 섬광을 비추고 12개 불혀 모양으로 강림하고 있다. 이 불혀들은 "그분께서는 너희에게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실 것이다"(마태 3,11)는 세례자 요한의 예언을 상기시킨다.
성령을 받은 사도들은 성령의 가르침을 받고 있다는 표징으로 '두루마리'와 복음서'를 들고 있다. 사도 베드로와 바오로는 사도단을 중심으로 둥근 자리의 윗부분에 각각 오른쪽과 왼쪽에 앉아 있다. 그리고 그 사이의 공간은 보이지 않는 신비체의 머리인 '예수 그리스도'의 자리다. 동방교회 비잔틴 모자이크는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에 사도 성 바오로를 사도단 안에 포함시켜 12사도로 표현하고 있다. 오순절 성령강림 때 사도 바오로가 그 자리에 참석하지 않았는데도 그를 포함시킨 것은 성령이 사도 바오로 안에 있음을 고백하기 위해서다.
서방교회의 대표적 비잔틴 양식 성당인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산 마르코 대성당'(Basillica San Marco)에도 성령강림 모자이크가 있다. 비잔틴 양식의 돔에 장식된 성령강림 모자이크는 12세기 작품으로 미술사적으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서방교회- 티치아노와 엘 그레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대표적 베네치아파 화가인 티치아노(1488~1576년)는 1570년경 베네치아 구원의 성모 성당에 '성령강림'유화 작품을 남긴다.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 외벽화 작품으로 유명한 티치아노는 비잔틴 회화 양식에서 탈피, 이전에 보지 못한 수직ㆍ수평 구도에 역점을 둔 새로운 창작 기법의 작품을 선보였다. 그 대표적 작품 중 하나가 바로 '성령강림'이다.
티치아노는 반원의 창을 통해 비둘기가 찬란한 광채를 띄며 수직으로 내려오는 것으로 성령강림을 묘사하고 있다. 성령의 빛은 불혀 모양으로 사람들의 머리 위에 내려앉고, 성령을 받은 사람들은 탈혼 상태가 된 듯 몽롱한 눈빛으로 내려오고 있는 성령을 바라보고 있다.
그림에서 붉은 망토를 걸친 맨 왼편 사람은 서서 두 팔을 모은 채 하늘을 향해 뻗고 있다. 또 맨 오른쪽 사람은 양 팔을 대각선으로 벌린 채 뒤로 넘어질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긴장감과 역동성을 주고 있다.
티치아노는 아울러 성령강림 회화에 12사도만 표현하는 비잔틴 양식과 달리 그림 정 중앙에 성모 마리아를 두어 차별화하고 있다.
티치아노의 제자로 스페인 미술의 거장인 엘 그레코(1541~1614년)는 그의 스승 작품에 영감을 받아 1604~1614년 사이 '성령강림'작품(스페인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을 완성했다.
'도메니코스 테오토코풀로스'(Domenikos Theotokopoulos)라는 본명보다 엘 그레코('그리스인'이란 뜻)로 알려진 그는 크레타 섬 출신이다. 엘 그레코 역시 스승 티치아노의 영향을 받아 수직과 수평 구도를 중시해 거대한 벽감 작품에 웅장함을 더해 인물들을 대각선으로 길게 배치하는 화풍을 즐겨 그렸다.
엘 그레코도 성령강림을 반원형 천정 위에서 사방으로 빛을 환하게 발산하고 있는 비둘기 모양으로 묘사했다. 그림 중앙에는 붉은 옷에 푸른 망토를 한 성모 마리아를 앉히고, 그 주위에 열두 사도들을 배치했다. 성모 마리아와 12사도들 머리 위에는 불혀 모양의 성령이 내려 앉고 있으며 그림 하단에 있는 사람들이 이 광경을 지켜 보면서 놀라워 하고 있다.
'[교회와 영성] > 성미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꼬베야의 마돈나 (0) | 2006.06.06 |
---|---|
성화로 본 주님 승천대축일 (0) | 2006.06.06 |
예수와 제자 요한 (0) | 2006.05.07 |
놀리 메 탕제레, 부활 (0) | 2006.05.07 |
성 토마스의 의심 (0) | 2006.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