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와 영성]/성미술이야기

특집 ‘성화로 보는 예수 부활’

by 세포네 2006. 4. 13.

<=  그림 순서
▶'놀리 메 탕제레, 부활’
▶'부활 이콘’
▶'아나스타시스'

<그림 설명 박혜원(소피아.화가) >

 

 

 

 또 못박히기 위해 우리에게 오시는 예수님

우수한 예술작품은 시간의 흐름에 아랑곳없이 그 감동과 메시지를 고스란히 품고 있다. 특히 과거 서양미술은 성미술과 동일선상에 있었다. 유럽에서 그리스도교는 특정 종교라기보다는 사회 전반을 움직이는 거대한 문명의 흐름이었기 때문이다. 수많은 화가들이 성경 내용을 주제로 창작에 나서왔다. 수많은 작품들은 자연스럽게 복음을 알리는 메신저가 됐다. 무엇보다 성화는 ‘구원에 대한 갈망’을 시각적으로 대변해왔다. ‘부활’은 그리스도인 신앙의 원천이다. 그러나 초기 그리스도교 미술에서는 ‘부활’을 주제로 한 작품을 찾아보기 힘들다. 성경에도 부활 바로 그 순간의 기록은 없다. 화가들은 제각각의 상상력을 발휘하기보다 빈 무덤과 여인들에게 나타난 예수 등의 성경 이야기를 형상화함으로써 부활을 표현하곤 했다. 부활장면이 본격적으로 그려지기 시작한 것은 르네상스 시대로 꼽힌다.

조토 디 본도네(Giotto di Bondone)는 중세의 문을 닫고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새 장을 연 거장이다. 특히 이탈리아 파도바 스크로베니 경당 벽면 가득히 그려진 프레스코 벽화는 조토 예술의 결정판으로 평가된다. 이 작품 중 예수 부활을 그린 ‘놀리 메 탕제레(Noli me tangere, 나를 만지지 마라, 부활)’와 13세기 ‘부활이콘(아나스타시스 Anastasis)’ 작품 2점을 감상하며 부활의 의미를 되새겨본다.


◈작품 1.‘놀리 메 탕제레, 부활’
(1302~06년, 조토 디 본도네(1266~1337), 프레스코화, 파도바 스크로베니 경당, 이탈리아)

투명한 듯 무한한 깊이감이 느껴지는 자연의 푸른 배경 중앙에는 대각선의 골고타 언덕이, 그리고 그 아래에는 분홍빛의 화려한 대리석관이 있고, 그 뚜껑은 활짝 열려 있다. 관에 기대어 깊은 꿈속에서 허덕이는 로마 군인들의 모습에서는 천진난만함과 유머스러움이 묻어나고, 관 위에 앉아있는 두 천사는 이제 더 이상 천상에서만 부유하는 것이 아니라, 지상에 내려와 철퍼덕 앉아있는데 이 모습에서는 인간미가 느껴진다. 중앙에는 다홍색의 망토를 입은 여인이 예수 그리스도를 알아보고 두 팔을 뻗어 그에게 다가가려 하자, 예수는 손을 들어 이를 저지하며, “나를 만지지 마라”는 수수께끼같은 말 한마디를 내던지고는 그의 갈 길을 재촉한다. 순결함과 초월적 시, 공간을 상징하는 순백색의 옷을 입은 예수는 또다른 손에 역시 십자가가 그려진 흰 깃발을 들고 있는데, 이는 선의 승리를 그리고 그의 초월성을 상징한다. 조토의 뛰어난 회화적 상상력과 정신성을 엿볼 수 있는 장면이다.

‘신’ 중심인 중세와 인간성이 지배하는 르네상스가 연결되는 시점에 조토가 있다. 여기서 예수는 화면 중앙에 안정감있게 자리잡은 것이 아니라 화면 바깥의 열린 공간으로 성큼 걸어나온다. 어리석은 인간이 찾아오기만을 앉아 기다리는 모습이 아니라, 그를 알아보지 못하는 우리를 향하여 적극적으로 다가온다. 수없이 십자가에 못박히기 위하여.

◈작품 2. '부활 이콘’
(아나스타시스, 십자고상 이콘의 뒷면, 1280년경, 목판 위에 템페라, 120.5×68㎝, 시나이 성카타리나 거룩한 수도원, 이집트)

동방에서는 ‘부활 이콘’을 ‘아나스타시스’(Anastasis, 희랍어)라 하는데, 이는 ‘예수가 지성소에 내려가서 구원하신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지옥의 문을 부수고 승리자의 모습으로 서 있는 그리스도는 붉은색의 눈부신 만돌라에 감싸여 있다. 왼손에는 선의 승리와 구원의 상징인 십자가를 들고 있고, 오른손은 기나긴 죽음의 잠에서 갓 깨어난 최초의 인간 아담의 손을 잡아 빛의 세계로 이끌어준다. 그 옆에는 사탄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 이브가 속죄하며 여기 구원의 현장에 참여하고 있다. 아담의 구원은 바로 인류 전체의 구원을 의미한다.

◈작품 3.‘아나스타시스’

(13세기말경,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제작, ‘라틴 시편집’(수사본) 중, 양피지 위에 템페라와 금박, 13.5×10.5㎝, 파리 국립 도서관, 프랑스)

비잔틴 이콘의 영향으로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이 작은 수사본의 색채는 매우 화려하고 밝다. 배경 역시 중세의 장식적인 꽃무늬로 처리됨으로써 비잔틴 특유의 무거움을 완화시켰다. 화면 중앙에는 눈부신 푸른빛의 만돌라 안에 있는 그리스도가 역시 아담에게 구원의 손길을 뻗고 있고, 그 옆의 왕관를 쓰고 화려한 복장의 다윗과 솔로몬, 그리고 그들 뒤의 무리는 편안한 표정으로 서로 담소를 나누고 있다. 이같이 이탈리아풍의 부활 이콘에서는 비잔틴의 경직됨은 사라지고 자연스러움과 여유가 느껴진다.

'[교회와 영성] > 성미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세마니 동산의 예수  (0) 2006.04.24
명화로 보는 예수의 부활  (0) 2006.04.21
목수 요셉  (0) 2006.03.19
저울질 하는 천사와 사탄  (0) 2006.03.16
성화로 보는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0) 2006.02.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