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타리나(3.3)◀
신분 : 설립자
연대 : 1858-1955년
지역 : 미국
성녀 카타리나 마리아 드레셀(Catharina Maria Drexel, 또는 가타리나)은 1858년 11월
26일 미국 펜실베이니아(Pennsylvania)의 필라델피아(Philadelphia)에서 유복한 가족의 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자라면서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에 깊이 빠져들었다. 그녀는 흑인과 토착 미국인인 인디언들의 물질적, 영성적 삶의 질에 큰 관심을 갖게 되어 그들을
위한 기부금을 모으기 시작했으나 이내 정말 필요하고 부족한 것은 사람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그래서
성녀 카타리나는 인디언과 유색인종의 권익을 위해 일하고 그들을 섬기기 위한 복된 성사의 수녀회(Sisters of the Blessed
Sacrament)를 설립하였다. 자신의 삶을 헌신하며 기금을 마련한 성녀 카타리나 원장은 1894년 뉴멕시코(New Mexico)
산타페(Santa Fe)에 인디언들을 위한 최초의 선교학교 개교식에 참가하였다. 그리고 계속해서 미시시피(Mississippi) 강 서편의
인디언들을 위한 학교와 미국 남부 지방의 흑인들을 위한 학교들도 개교하였다. 1915년에는 뉴올리언스(New Orleans)에 미국 최초의
흑인들을 위한 대학인 사비에르(Xavier) 대학을 설립하였다. 그녀가 선종할 무렵에는 이미 미국 전역에서 500명이 넘는 수녀들이 63개의
학교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성녀 카타리나는 1988년 11월 20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으며, 2000년 10월 1일 같은 교황에 의해 시성되었다.
▶논나(3.3)◀
신분 : 과부
연대 : 6세기경
성녀 논나는 귀족 출신으로 웨일스(Wales)의 디버드(Dyfed)에서 태어난 듯하다. 그녀는 웨일스의 세인트 데이비드(오늘날의 지명) 교외 티 그윈(Ty Gwyn)의 어느 수도원에서 살다가 산트(Sant)라는 어느 족장에게 붙잡혀 가서 아들을 낳게 되었는데, 그 아이의 이름이 바로 성 다윗(David, 3월 1일)이다. 그 후 그녀는 콘월(Cornwall)과 브르타뉴(Bretagne) 등지에서 살았다고 한다. 그녀는 논(Non) 또는 논니타(Nonnita)로도 불린다.
▶데레사(3.3)◀
신분 : 설립자
연대 : 1801-1852년
지역 : 베르가모
1801년 7월 31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Lombardia)의 베르가모(Bergamo)에서 태어난 성녀
테레사 에우스토키움 베르제리(Teresia Eustochium Verzeri, 또는 데레사)는
페드로카-구르멜리(Pedrocca-Grumelli) 백작 가문의 일곱 자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 베르제리 가문은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 9월 30일)에 대한 특별한 신심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나중에 브레시아(Brescia)의 주교가 된 성녀
테레사의 동생은 히에로니무스로 불렀고, 테레사는 성녀 바울라(Paula, 1월 26일)의 딸을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에우스토키움(Eustochium, 9월 28일)으로 불렀다.
성녀 테레사는 10세 때에 첫영성체를 하면서부터
수녀가 될 마음을 품었다. 그 후 견진성사를 받고나서부터는 베르가모 대성당의 총대리인 요셉 신부로부터 영성지도와 격려를 받았다. 그 후 그녀는
세 번씩이나 산 그라타(San Grata)의 베네딕토회에 들어갔지만 세 번 다 교육을 받는 도중에 나왔다. 그 후에 그녀는 그로모라고 부르는
작은 집에서 소녀들에게 신앙교육을 시키는데 전념하였다. 이것은 후에 그녀가 세운 수녀회의 씨앗이었다.
성녀
테레사는 안토니아를 비롯한 비르지니아 시모니 그리고 카타리나 만제노니 등의 도움을 받고 교육하는 한편, 단식과 침묵 등을 통하여 힘든 완덕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 후 테레사는 요셉 신부의 지도하에 공동생활을 위한 규칙을 만들었으며, 가난한 어린이 교육, 병자방문 그리고 윤리적
위기에 처한 소녀들의 휴식처 겸 신앙교육, 여성 피정지도 등을 실시하였다. 1841년 성녀 테레사 원장과 그의 동료들이 종신서원을 발했고,
1847년에는 '예수의 성심 수녀회'(Daughters of the Sacred Heart of Jesus)라는 이름으로 로마 교황청의 승인을
받았다.
성녀 테레사는 북부 이탈리아를 강타한 콜레라에 걸려 1852년 3월 3일
브레시아(Brescia)에서 운명하였다. 그녀의 유해는 베르가모의 예수 성심 수녀회 성당에 모셔졌다. 예수의 성심 수녀회는 그 후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브라질,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카메룬, 인디아, 알바니아 등으로 진출해서 그들의 사명을 수행하고 있다. 성녀 테레사는 1946년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2001년 6월 10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성되었다.
▶루치올로(3.3)◀
▶마르치아(3.3)◀
▶펠릭스(3.3)◀
▶포르투나토(3.3)◀
신분 : 순교자
연대 : 연대미상
성 펠릭스(Felix), 성 포르투나투스(Fortunatus), 성 루키올루스(또는 루치올로), 성녀 마르키아(Marcia)와 36명의 동료들이 북아프리카에서 순교하였다.
신분 :
연대 :
'[가톨릭과 교리] > 축일 (聖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4일 성인들 (0) | 2006.03.04 |
---|---|
3월 4일 성 가시미로 (0) | 2006.03.04 |
3월 3일 성녀 구네군다 황후 동정 (0) | 2006.03.03 |
3월 2일 성인들 (0) | 2006.03.02 |
3월 2일 프라하의 성녀 아녜스 동정 (0) | 2006.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