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과 교리]/축일 (聖人)

2월 1일 성인들

by 세포네 2006. 2. 1.

레지날드(2.1)◀ (복자)

신분 : 수사

연대 : 1183-1220년

지역 : 생질

 

   레지날드는 도미니코회의 설립자인 성 도미니코(Dominicus, 8월 8일)로부터 수도복을 받은 것이 아니라 성모님께서 발현하시어 그의 소원대로 도미니코회의 수도복을 직접 전해주었다고 전해온다. 프랑스 아를(Arles)에서 멀지 않은 랑그도크(Languedoc)의 생질(Saint-Gilles)에서 태어난 그는 1206년부터 5년간 파리 대학교에서 법률을 가르쳤고, 1212년에는 오를레앙(Orleans)의 성 에그난(Aignan) 대학교의 학장이 되었다. 그는 1218년에 로마(Rome)를 순례하던 중에 성 도미니코를 만났는데, 중병을 앓던 중에 성모님의 발현을 보고 자신의 영적 진로를 결정하였다고 한다. 그 후 그는 파리(Paris)와 볼로냐(Bologna)의 대학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그는 파리에서 선종하여 노트르담 데 샹프에 안장되었다. 그에 대한 공경은 1885년에 승인되었다.

 

바오로(2.1)

신분 : 주교

연대 : 405년

지역 : 트루아 샤토

 

   프랑스 랭스(Reims)에서 태어난 성 바오로(Paulus)는 이교도의 침입을 피한 후 아를(Arles) 부근에서 은수자가 되었다. 후에 그는 도피네(Dauphine) 지방 트루아 샤토(오늘날에는 폐지된 교구)의 주교로 선출되었다.

 

베리디아나(2.1)

신분 : 동정녀, 은수자

연대 : 1242년

 

  비리디아나(Viridiana)로도 불리는 성녀 베리디아나는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Toscana)의 카스텔피오렌티노(Castelfiorentino) 태생의 귀족이었다. 그런데 그녀의 집안이 몰락하여 12살부터 친척집의 하녀로 지내야만 했다. 그러나 그녀의 성덕은 크게 돋보였다. 그녀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를 순례한 뒤에 아예 고향 마을에서 은수자로서 살았다.

   주민들은 엘사 강변의 성 안토니우스(Antonius) 성당 곁에 작은 기도소가 딸린 움막을 지어 주었는데, 그녀는 이 조그마한 움막에서 34년을 기도와 고행 속에서 살았다. 그녀가 외부 세계와 통하는 길은 그 움막에 딸린 조그마한 창문이었다. 그녀는 주로 빵과 물 그리고 가끔씩 채소를 먹었다. 잠은 맨땅에서 잤다. 한 번은 뱀 두 마리가 그녀의 움막으로 들어왔으나, 그녀가 내쫓지 않자 1년 동안 함께 살다가 밖으로 나갔다고 한다. 그녀는 1221년에 아시시(Assisi)의 성 프란치스코(Franciscus, 10월 4일)의 방문을 받았다고 한다. 그녀가 이때 작은 형제회의 재속 회원이 되었다는 말도 있지만 발롬브로사 회원이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녀에 대한 공경은 1533년에 승인되었다.

 

세베로(2.1)

신분 : 주교

연대 : 348년

지역 : 라벤나

 

   성 세베루스(또는 세베로)는 이탈리아 라벤나의 가난한 직공이었으며 하느님께서 그에게 교구를 다스리도록 해 주실 것이라고는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었다. 하지만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종을 부르시는 특별한 방식으로 연관이 하나도 없을 법한 곳에 당신의 손길을 뻗치셨다. 283년 라벤나의 주교좌가 공석이 되고 새로운 주교를 선출하러 사람들이 대성당에 모였을 때, 성 세베루스는 자신의 부인 빈첸시아(Vincentia)에게 신부님을 방문하고 일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고 오겠다고 했다. 부인은 귀족들과 좋은 옷을 입은 사람들 틈에 작업복을 입고 나타나는 것이 좋지 않기에 집에 머물기를 권유했다. “내가 가는 데 있어서 그게 무슨 문제냐?”라고 묻자 부인은 “구경하러 어슬렁거리는 것보다 여기에 할 일들이 있잖아요?”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그가 계속 가려고 하자 “가세요. 오실 때에 좋은 소식을 가지고 오세요” 하고나서 “가서 주교로 선출되세요"라고 빈정대며 덧붙였다.

   부인의 날카로운 대답에 익숙해져 있던 성 세베루스는 집에서 나와 사람들이 몰려드는 성당으로 가서 좋은 옷을 입은 사람들 사이에 낀 자신의 작업복을 부끄러워하며 뒤에 서 있었다. 예식이 시작되고 성령을 청하자 성전 안에 흰색 비둘기가 나타나 회중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성당 안을 날아다니던 그 비둘기는 가난한 직공의 귓가에서 퍼덕였다. 그는 비둘기를 쫓았으나 다시 돌아와 그의 어깨에 앉았다. 모든 사람들의 눈이 그를 향해 쏠렸고 회중은 이것을 그를 주교로 삼으신 하늘의 표징으로 보았다.

   그때 성 세베루스의 부인은 집에 있었는데, 이웃이 달려와 그 소식을 전하자 웃으면서 믿으려 하지 않았다. “직조기의 북을 던지는 이가 고위 성직자가 되다니요?” 하지만 또 다른 사람이 와서 동일한 이야기를 하고, 군중이 집 주위로 모여들자 사실인 것을 알고는 할 말을 잃어버렸다.

   이렇게 해서 성 세베루스는 라벤나의 주교가 되어 탁월한 성품으로 신자들을 돌보았다. 그는 착한 주교로서 지내다가 죽을 때가 되자 신자들과 함게 마지막 미사를 집전하고 그들을 축복하여 파견하였다. 모든 이가 떠나고 복사 하나가 남자 그는 복사에게 문을 닫도록 하고 주교복을 입은 다음 자신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부인과 딸의 무덤을 찾았다. 그리고 복사의 도움을 받아 돌을 들어 올린 후 무덤에 내려가 누운 뒤 기도를 하고 눈을 감았다. 성 세베루스는 죽은 뒤 바로 성인으로 공경을 받았다. 교회 미술에서 성 세베루스는 주교 복장을 하고 베 짜는 북을 든 형상으로 묘사되곤 한다. 그는 장갑과 모자를 만드는 이들 그리고 베 짜는 이들의 수호성인이다.

 

신니아(2.1)

신분 : 동정녀

연대 : 5세기경

역 : 얼스타

 

   아일랜드 얼스터의 공주였던 성녀 신니아는 성 파트리키우스(Patricius, 3월 17일)에 의해 그리스도교로 개종하였고, 후에 수녀가 될 때 성 파트리키우스로부터 수녀복을 받았다.

 

안토니오(2.1)◀ (복자)

신분 : 순례자

연대 : 1237-1267년

 

   안토니우스 만조니(Antonius Manzoni, 또는 안토니오)는 이탈리아 파도바(Padova)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부친을 잃었던 그는 막대한 유산을 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모두 희사하여 친척들과 주민들로부터 손가락질을 받았다. 이제 자신이 가난하게 된 그는 순례자의 복장을 하고는 파도바를 떠나 방황하다가 볼로냐(Bologna) 교외 바자노까지 왔다. 그는 여기서 병든 노사제를 발견하고 3년 동안이나 보살펴드렸다. 그들은 안토니우스가 문전걸식으로 얻어오는 음식으로 연명했으며, 꼭 필요하지 않은 것은 모두 다른 이에게 주어버렸다. 그는 스스로 규율을 정하여 지켰으며, 꺼칠꺼칠한 옷을 입고 돌베개를 이용하여 맨땅에서 잠을 잤다.

   그 후 그는 로마(Rome), 로레토(Loreto),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 쾰른(Koln) 그리고 예루살렘(Jerusalem)까지 순례한 후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반겨주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그는 성벽 외곽에 있는 폐허가 된 어느 성당에서 지내던 중에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고 선종하였다.

 

지그베르트 3세(2.1)

신분 : 왕

연대 : 656년

지역 : 아우스트라시아

 

   프랑스 아우스트라시아의 왕 다고베르트 1세(Dagobert I)는 한동안 숨은 생활을 한 끝에 주님의 은총으로 아들을 낳았는데 그가 곧 성 지그베르트이다. 이 때문에 그는 하느님께 개종하였다. 그는 거룩한 주교 성 아만두스(Amandus, 2월 6일)를 불러 아들에게 세례를 주게 하였다. 이 젊은 왕자는 란덴(Landen)의 피핀(Pepin, 2월 21일)에게 맡겨졌고, 638년 다고베르트 1세가 서거했을 때 왕위를 계승하였다. 그는 가능하면 전쟁을 피하고 선정을 베풀었다. 그는 매일 기도하고 가난한 이들의 구제사업과 수도원 건설을 적극 지원하였는데 모두 12개의 수도원을 세웠다고 한다. 그는 재위 25년 만에 서거하였다.

 

클라로(2.1)

신분 : 은수자

연대 : 1048년

지역 : 셀리겐슈타트

 

 성 클라루스(또는 클라로)는 독일 마인츠(Mainz) 교구의 셀리겐슈타트에서 30년 동안 은수자로서 엄격한 삶을 살았다. 그의 모토는 그리스도와 십자가의 희생이었다.

 

킨니아(2.1)

신분 : 동정녀

연대 : 5세기경

지역 : 라우스

 

   성녀 킨니아는 성 파트리키우스(Patricius, 3월 17일)에게 세례를 받고 수도복을 받은 아일랜드의 동정녀이다. 그녀는 얼스터(Ulster) 지방의 라우스에서 큰 공경을 받고 있다. 얼스터의 성녀 신니아(Cinnia, 2월 1일)와 동일인물로도 보인다.

 

피오니오(2.1)

신분 : 신부, 순교자

연대 : 251년경

지역 : 스미르나

 

   성 피오니우스(또는 피오니오)는 박식하고 웅변이 뛰어난 스미르나의 사제였다. 그는 여행을 즐기는 좋은 성품을 지녔다. 그는 데키우스 황제 치하에서 스미르나의 성 폴리카르푸스(Polycarpus)의 순교 기념일 전례를 거행하던 중 사비누스(Sabinus)와 아스클레피아데(Asclepiades) 등 15명의 동료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그들은 이교도 신전에 희생 제물을 바치라는 요구를 거절하였다. 이때 성 피오니우스는 군중들에게 이를 거절하는 이유를 웅변으로 설명함으로써 그들을 크게 감동시켰다. 그는 재치와 박식한 비유 등을 동원하여 관중들로 하여금 흥분케 하였으나, 관중들이 그에게 압도되어 소란은 피우지 않았다고 한다. 그들은 온갖 잔혹한 고문을 당한 후 화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헨리코 모스(2.1)

신분 : 순교자

연대 : 1595-1645년

지역 : 영국

 

   성 헨리쿠스 모스(Henricus Morse, 또는 헨리코 모스)는 이스트 앵글리아의 어느 프로테스탄트 가정에서 자랐으나, 런던에서 법률을 공부하던 중에 가톨릭 신자가 될 결심을 굳히고 프랑스 두에(Douai)로 가서 신자가 되었다. 그는 즉시 신학공부를 하여 1623년에 로마(Rome)에서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러나 영국 잉글랜드(England)의 뉴캐슬(Newcastle)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예수회 신부인 존 로빈슨(John Robinson)과 함께 체포되어 요크(York) 성에 투옥되었다. 그는 로마를 떠나기에 앞서 예수회 총장으로부터 영국의 예수회 입회를 약속받았기 때문에, 요크의 옥중에서 존 로빈슨 신부로부터 수련을 받고 1625년에 유기서원을 발하였다.

   3년간의 감옥 생활 후 추방되었을 때 그는 플랑드르(Flandre)로 가서 스페인의 필리푸스 4세 왕을 섬기는 영국 군인들을 사목하는 선교사가 되었다. 1633년 그는 재차 영국으로 왔는데, 이때 그는 쿠트베르투스 클랙스턴(Cuthbertus Claxton)이란 가명을 가지고 런던에서 활동하였다. 마침 런던에 페스트가 대유행하였기 때문에 그는 헌신적으로 일할 수 있었으나, 그 자신도 세 차례나 죽을 고비를 넘겨야 했다. 그 후 그가 건강을 회복하였을 때 체포되어 타이번(Tyburn)에서 순교하였다. 그는 1970년 10월 25일 교황 바오로 6세(Paulus VI)에 의해 잉글랜드와 웨일스(Wales)의 40명의 순교자 중 한 명으로 시성되었다.

 

 

(가톨릭 굿뉴스 홈에서)

'[가톨릭과 교리] > 축일 (聖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2일 성인들  (0) 2006.02.02
2월 2일 주님 봉헌 축일  (0) 2006.02.02
2월 1일 아일랜드의 성녀 브리지다  (0) 2006.02.01
1월 31일 성인들  (0) 2006.01.31
1월 31일 성 요한 보스코 사제  (0) 2006.01.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