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발도(1.8)◀
신분 : 주교
연대 : 762년
지역 : 레겐스부르크
독일 바이에른(Bayern) 지방의 베네딕토회 수도승이었던 성 가리발두스(또는 가리발도)는 740년경 성 보니파티우스(Bonifatius, 6월 5일)에 의해 레겐스부르크의 초대주교로 축성되었다. 그는 또한 저명한 학자였다.
▶구둘라(1.8)◀
신분 : 동정녀
연대 : 712년
지역 : 브뤼셀
벨기에 브뤼셀을 찾는 사람들은 성녀 구둘라 대성당을 찾고 있지만, 성녀의 전기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그녀는
비트겔(Witger) 백작과 그의 아내인 모뵈주(Maubeuge)의 성녀 아멜베르가(Amelberga, 7월 10일)의 딸로
니벨레스(Nivelles)의 수도원에서 그녀의 사촌인 성녀 게르투르다(Gertrudis, 3월 17일)로부터 종교적인 생활을 배우며 성장하였다.
성녀 게르투르다가 사망한 후 그녀는 부모의 집이 있는 알로스트(Alost) 근교 함(Hamme)으로 돌아와 함께 지내면서 오로지 이웃을 위한
자선활동과 신심생활에만 전념하였다. 그녀의 집과 모르셀(Moorsel) 성당이 약 3km 정도 떨어져 있었지만 그녀는 매일 아침 성당에 가서
기도하였다.
성녀 구둘라는 사망한 후 고향 마을에 있는 성당 정문 앞에 묻혔다. 그 후 그녀의 유해는 모르셀
성당에 안치되었다가 978년 브뤼셀로 옮겨졌고, 1047년에는 성 미카엘(Michael) 성당에 안치되었다. 그러나 1579년 칼빈주의자들에
의해 그녀의 묘는 파괴되었고 유해 또한 흩어지고 말았다. 그녀의 자매인 성녀 라이넬디스(Reineldis, 7월 16일)는
생트(Saintes)에 살다가 야만족의 침입 때 살해되었다.
▶루치아노(1.8)◀
신분 : 신부, 순교자
연대 : 290년?
지역 : 보베
성 루키아누스(Lucianus, 또는 루치아노)는 로마(Rome)에서 프랑스 지방으로 온 선교사제로 주로 보베에서 복음을 선포하였다. 그는 동료이던 성 막시미아누스(Maximianus), 성 율리아누스(Julianus)와 더불어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
▶막시모(1.8)◀
신분 : 주교
연대 : 511년
지역 : 파비아
성 막시무스(또는 막시모)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가 이탈리아 파비아의 주교였다는 사실 뿐이다.
▶막시미아노(1.8)◀
신분 : 순교자
연대 : 290년
성 루키아누스(Lucianus)는 로마(Rome)에서 프랑스 지방으로 온 선교사제로 주로 보베에서 복음을 선포하였다. 그는 동료이던 성 막시미아누스(Maximianus, 또는 막시미아노), 성 율리아누스(Julianus)와 더불어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
▶불신(1.8)◀
신분 : 수도원장
연대 : 1005년
지역 : 웨스트민스터
성 불신은 성 둔스타누스(Dunstanus, 5월 19일)가 아들처럼 사랑하고 존경하던 수도자였다. 성 둔스타누스가 런던의 주교로 있을 때 국왕 에드가로부터 땅을 하사받고, 웨스트민스터(Westminster) 대수도원을 재건하여 성 불신을 그곳의 원장으로 임명했다. 980년 성 불신은 정식으로 원장에 취임하여 13년을 지도하다가 쉐르본(Sherborne)의 주교로 착좌하였다. 그 외에 그의 생애는 구름에 가린 듯하다.
▶세베리노(1.8)◀
신분 : 주교
연대 : 연대미상
지역 : 나폴리
로마 순교록은 카메리노(Camerino)의 주교인 성 빅토리누스(Victorinus, 6월 8일)의 형제인 나폴리 또는 셉템페다(Septempeda, 오늘날 성인을 기념하여 산 세베리노로 부르는 나폴리의 한 지방)의 성 세베리누스(또는 세베리노, 6월 8일) 주교의 축일을 오늘도 기념한다. 그런데 여기에는 분명히 혼동된 내용이 섞여 있다. 즉 노리쿰(Noricum)의 사도로서 산 세베리노(San Severino)의 베네딕토 수도원에 그 유해가 안장된 성 세베리누스와 셉템페다의 성 세베리누스 중 누가 카메리노의 성 빅토리누스 주교의 형제인지 불분명하다. 아마도 로마 순교록의 혼동과 중복된 목록으로 보인다.
▶아보(1.8)◀
신분 : 순교자
연대 : 781년
지역 : 트빌리시
성 아보는 모슬렘 아랍인이었는데, 그루지아(Georgia)의 트빌리시에서 그리스도 교회의 진리를 확신하였으나 자신의 신앙 고백을 두렵게 생각하였다. 왜냐하면 그는 그루지아 왕자의 향료 제작자였는데 이 나라는 모슬렘 법의 지배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의 주인이 카스피 해 북쪽의 카자리아(Khazaria)로 피난가게 되자 성 아보 역시 그를 수행하여 그곳에서 세례를 받았다. 782년에 그는 트빌리시로 귀향하였고, 그 얼마 후 아보는 모슬렘 왕에게 인도되어 배교자로 낙인찍혀 순교하였다. 성 아보의 축일은 오늘날도 그루지야 공화국의 그리스도인들이 엄격하게 지키고 있다.
▶아티코(1.8)◀
신분 : 주교
연대 : 425년
지역 : 콘스탄티노풀
소아시아 지방 아르메니아(Armenia)의 세바스테(Sebaste)에서 태어난 성 아티쿠스(또는 아티코)는 성령을 하느님으로 인정하지 않는 마케도니아 이단의 지지자로 교육받았으나 회개하고 콘스탄티노플에서 사제품을 받았다. 그런데 그는 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Joannes Chrisostomus, 9월 13일)를 반대하여 그를 주교좌에서 끌어내리고 두 번째 유배 보내는 데 가담하여 406년에 콘스탄티노플의 주교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결국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또 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를 반대한 것을 후회하며 교황 성 인노켄티우스 1세(Innocentius I, 7월 28일)의 관할권을 수용하였다. 그 후 그는 주교직을 보존하였고, 고귀한 덕과 정통교리를 지키며 이단에 대한 강력한 반대자가 되었다. 그래서 교황 성 코일레스티누스 1세(Coelestinus I, 4월 6일)로부터 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의 진정한 계승자라는 칭송을 들었다.
▶아폴리나리스(1.8)◀
신분 : 주교, 호교론자
연대 : 179년경
지역 : 히에라폴리스
프리지아(Phrygia, 고대 소아시아 중서부 지역) 지방 히에라폴리스의 주교인 성 클라우디우스
아폴리나리스(Claudius Apollinaris)는 그의 교육과 저서들로 유명하나 남아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그 가운데 여러 형태의
이단자들 특히 엔크라티테스(Encratites)와 몬타누스주의자(Montanists)들을 공격한 저서들이 유명하였다.
그는 2세기의 가장 유명한 그리스도교 옹호자이기 때문에 ‘호교론자’란 칭호를 얻었고,
에우세비우스(Eusebius),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 9월 30일) 및 테오도레트(Theodoret) 등의 석학들로부터 극찬을
받은 분이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자신의 군대로는 독일을 침공하여 승리를 거두지 못하고, 그리스도인들로 구성된 부대가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게 되었을 때, 제12연대의 기도에 의한 기적으로 이겨 그의 호교 정신은 더욱 빛나게 되었다. 그의 호교론은 그리스도인의 고발을 금지하는
황제의 칙서를 얻는 결과를 가져왔다.
▶에르그나다(1.8)◀
신분 : 동정녀
연대 : 5세기경
지역 : 얼스터
아일랜드의 얼스터에서 태어난 성녀 에르그나다(Ergnada)는 성 파트리키우스(Patricius, 3월 17일)로부터 수녀복을 받았다. 그녀는 은둔생활 속에서 기도와 참회를 수행하는 수도원 전통을 따랐다.
▶에르하르도(1.8)◀
신분 : 주교
연대 : 686년경?
지역 : 레겐스부르크
성 에르하르두스(Erhardus, 또는 에르하르도)는 독일 라티스본(Ratisbon, 오늘날의 레겐스부르크)의 주교임이 틀림없다고 한다. 그러나 그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더 이상 알 수는 없지만, 성녀 오틸리아(Othilia, 12월 13일)에게 세례를 준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녀는 타고난 맹인이었으나 세례성사를 받을 때 눈이 뜨여 세상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에우제니아노(1.8)◀
신분 : 주교, 순교자
연대 : 4세기
지역 : 오툉
프랑스 오툉의 주교인 성 에우게니아누스(Eugenianus, 또는 에우제니아노)는 아리우스주의에 반대하여 가톨릭 신앙을 철저히 지켰고, 그로 인해 순교하였다.
▶율리아노(1.8)◀
신분 : 순교자
연대 : 2901년
성 루키아누스(Lucianus)는 로마(Rome)에서 프랑스 지방으로 온 선교사제로 주로 보베에서 복음을 선포하였다. 그는 동료이던 성 막시미아누스(Maximianus), 성 율리아누스(Julianus, 또는 율리아노)와 더불어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
▶테오필로(1.8)◀ (부제)
▶헬라디오(1.8)◀
신분 : 순교자
연대 : 연대미상
성 테오필루스(Theophilus) 부제와 성 헬라디우스(또는 헬라디오)는 아프리카 북부 리비아(Libya)에서 복음을 선포하다가 심한 고문을 받고 화덕에 던져져 순교하였다.
▶토르핀(1.8)◀
신분 : 주교
연대 : 1285년
지역 : 노르웨이
성 토르핀은 노르웨이 주교로서 북서부 유럽에서 큰 공경을 받고 있으나 그의 전기는 불분명하다. 그가 하마르(Hamar)의 주교가 되기 전에는 트론드하임(Trondhjem) 근교에서 시토 회원으로 지낸 듯하다. 그와 또 다른 주교들이 주교 선출권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 때문에 추방될 때, 성 토르핀은 플랑드르(Flandre) 지방 브뤼헤(Brugge) 근교 테르도에스트(TerDoest) 수도원으로 피신하였다가 그곳에서 운명하였다. 발터 드 무다(Walter de Muda)는 성 토르핀을 기리는 아름다운 시를 남겼다.
▶파티엔스(1.8)◀
신분 : 주교
연대 : 2세기
지역 : 메스
성 파티엔스는 프랑스 메스의 제4대 주교이자 수호성인으로서 존경을 받고 있다.
▶페가(1.8)◀
신분 : 동정은수자
연대 : 719년경
성녀 페가는 성 구틀락(Guthlac, 4월 11일)의 동생으로 오빠의 은둔소 곁에서 은수생활을 하였다. 그 지역은 오늘날 영국 잉글랜드(England) 중동부 노샘프턴셔(Northamptonshire) 근방으로 피커크(Peakirk), 즉 성녀 페가의 성당이라고 불렸다. 그녀는 오빠의 장례식에 참석해서 웰랜드(Welland) 강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위스벡(Wisbech)에서 온 어느 맹인을 치유했다고 한다. 그 후 그녀는 로마(Rome) 순례를 하던 중에 운명하였다. 오르데리쿠스 비탈리스(Ordericus Vitalis)에 의하면 그녀의 유해는 그녀를 기념하여 로마에 세워진 성당에 안장되어 있고, 기적이 끊임없이 일어났다고 한다.
(가톨릭 굿뉴스 홈에서)
'[가톨릭과 교리] > 축일 (聖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9일 성인들 (0) | 2006.01.09 |
---|---|
1월 9일 켄터베리의 성 아드리아노 (0) | 2006.01.09 |
주님 세례 축일 (0) | 2006.01.08 |
주님 공현 대축일 (0) | 2006.01.08 |
1월 8일 성 세베리노 (0) | 2006.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