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미술 선구자 우석 장발 화백 희귀작 공개
한국 서양화단의 개척자이자 성미술 선구자인 우석(雨石) 장발(루도비코, 1901∼2001) 화백의 희귀작 '칠락(七樂)의 묵주기도 성모'가 45년 만에 공개됐다. ▶관련기사 21면
유화 작품인 '칠락의 묵주기도 성모'(88㎝×128㎝)는 장 화백 화풍상 구상 표현의 마지막 시기에 제작한 것이라 완숙도가 뛰어난 데다 구성과 형태, 토착화 등 여러 면에서 화단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 |
▲ 45년 만에 빛을 보는 장발 화백의 미공개작 '칠락의 묵주기도 성모'. '김대건 신부' '복녀 골룸바와 아녜스 자매' 등 기존 대표작보다 토착화 열정 및 회화적 표현 욕구가 더 강하게 드러난다는 것이 미술가들 평이다. |
이 작품은 독실한 재속 프란치스코회 회원이었던 장 화백이 1963년 제작, 1965년 서울 정동 작은형제회 수도원 축복식 때 봉헌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회 측은 작품의 진가에 대한 이해 없이 그동안 줄곧 수도원 봉쇄구역 1∼2층 중간 계단 벽에 걸어뒀다. 봉쇄구역은 일반인 출입이 엄격히 통제된 지역이라 가톨릭 미술계는 물론 장 화백 작품세계를 연구하는 학자들조차 작품의 존재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성모성월에 빛을 보게 돼 더욱 뜻깊은 이 작품은 예수 잉태부터 승천에 이르는 성모 마리아의 7가지 기쁨을 되새기는 프란치스칸 고유의 묵주기도를 표현한 것이다. 칠락 묵주기도는 성모 마리아가 1442년 한 수련자에게 성모로서 누린 7가지 기쁨을 일러주고 "성모송으로 화관(花冠)을 엮으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작가는 하늘에 올라 천상 모후의 면류관을 쓴 성모 마리아(제7락)를 가운데 두고 예수 잉태ㆍ엘리사벳 방문ㆍ출산ㆍ부활하신 예수를 만남 등 나머지 기쁨의 순간을 좌우 양측에 형상화했다.
또 천상의 모후를 조선시대 궁중의 왕비처럼 표현하고, 성전에서 만난 아들 예수에게 복건(幅巾) 씌우는 등 한국 고유의 색과 정서로 성모의 기쁨을 표현해 교회미술 토착화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제2공화국 총리 장면 박사의 동생인 작가가 5ㆍ16 군사 쿠데타 후 정신적 고통이 심할 때 그린 그림이라 그의 내면적 신앙세계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삼성미술관 리움 김주삼(루치아노) 실장은 "장 화백은 한국교회 성미술의 선구자이자 원류(源流)지만 국내에 작품이 몇 점 남아있지 않은 데다, 이 작품은 특히 구성과 완숙도 면에서 가치가 높아 공개 의미가 크다"며 "먼지가 쌓이고 약간 퇴색됐지만 유화 특성상 상태도 양호한 편"이라고 말했다.
작은형제회는 모사품을 제작해 계단 벽에 걸어두고, 원본은 복원작업을 거쳐 수도회 역사박물관에 보관할 계획이다.
'[가톨릭과 교리] > 가톨릭 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한국교회를 전망한다(6) 한국 사회의 변화(5)- 종교의식과 실천의 변 (0) | 2008.05.18 |
---|---|
평화방송ㆍ평화신문 20년 발자취 (0) | 2008.05.18 |
[이 땅에 평화를] 쇠고기 무한 개방시대, 국내 사육농가 희망은 없나 (0) | 2008.05.11 |
묵주기도는 감동적 사랑 표현 (0) | 2008.05.11 |
'아, 최양업' 소설에 부쳐… (0) | 2008.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