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과 교리]/축일 (聖人)

1월 27일 성인들

by 세포네 2006. 1. 28.

다시오(1.27)

레아트로(1.27)

빈첸시오(1.27)

율리아노(1.27)

신분 : 순교자

연대 : 연대미상 (5-6세기)

지역 : 아프리카

 

  로마 순교록의 1월 27일자에는 두 그룹의 아프리카 순교자들이 기록되어 있다. 성 다티우스(또는 다시오), 성 레아트루스(Reatrus)와 동료 순교자들과 또 다른 그룹으로는 427년부터 531년 사이에 아리우스파 반달족의 침략으로 고통을 받던 성 율리아누스(Julianus), 또 다른 성 다티우스(Datius), 성 빈첸시오(Vincentius)와 27명의 동료들이 함께 아프리카에서 순교하였다.

 

데보타(1.27)

신분 : 순교자

연대 : 303년

지역 : 코르시카

 

   코르시카 처녀인 성녀 데보타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신앙을 지키다가 찢겨 죽었다고 한다. 그녀는 지중해 코르시카 섬의 수호성녀이다.

 

루포(1.27)

신분 : 주교

연대 : 610년경

지역 : 샬롱쉬르손

 

  성 루푸스(또는 루포)는 프랑스 샬롱쉬르손의 주교로서 교구내의 병들과 가난한 이들에게 베푼 자선으로 유명하였다. 교황 성 대 그레고리우스 1세(Gregorius I, 9월 3일)가 601년 그의 친구인 성 루푸스에게 보낸 편지가 전해지고 있다.

 

마우로(1.27)

신분 : 수도원장

연대 : 555년

지역 : 보돈

 

   고대 프랑스의 시스테롱(Sisteron) 교구의 보돈 수도원의 원장이 바로 성 마우루스(또는 마우로)이다. 그는 이 수도원의 설립자이자 초대원장이었다. 투르(Tours)의 성 그레고리우스(Gregorius, 11월 17일)가 언급한 그의 전기에 의하면, 성 마우루스는 오를레앙(Orleans) 출신으로 수도자가 된 후 투르(Tours)의 성 마르티누스(Martinus, 11월 11일)와 파리(Paris) 교외에 있는 성 디오니시우스(Dionysius, 10월 9일)의 무덤을 순례하였고, 기적적인 방법으로 병을 치유하여 크게 유명해졌다고 한다. 또 그는 사순절 40일 동안 숲 속에서 은거하여 고행하면서 지낸 위대한 수도자였다. 그는 마리우스(Marius) 또는 마이(May)로도 불린다.

 

미카엘 피니(1.27) (복자)

신분 : 은수자

연대 : 1445-1522년

 

   이탈리아의 피렌체(Firenze)에서 태어난 성 미카엘 피니는 1502년에 카말돌리회의 은수자가 되기 전에는 로렌조 데 메디치(Lorenzo de Medici) 궁의 촉망받는 인물이었다. 그는 은수자가 된 후 사제품을 받았고, 자신의 은둔처를 벽으로 막고 그 안에서 죽을 때까지 20년을 지냈다. 그는 예언의 은사를 받았다고 한다.

 

비탈리아노(1.27)

신분 : 교황

연대 : 672년

 

   이탈리아 남부 캄파니아(Campania)의 세니(Segni) 출신인 성 비탈리아누스(Vitalianus, 또는 비탈리아노)는 교황 성 에우게니우스 1세(Eugenius I, 6월 2일)를 계승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어 657년 7월 30일에 착좌하였다. 그의 재임기간 중 영국 주교와 아일랜드 주교들의 부활절 축일 논쟁을 종식시킨 것이 가장 돋보이고, 로마(Rome)와 영국 교회간의 유대 강화는 그의 탁월한 지도력 때문에 가능했다. 그는 캔터베리(Canterbury)의 성 하드리아누스(Hadrianus, 1월 9일)와 성 테오도루스(Theodorus, 9월 19일)를 영국으로 파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방의 그리스도 단성론 이단은 그의 재임기간에도 버젓이 활동하고 다녔다.

 

 

아비토(1.27)

신분 : 순교자

연대 : 연대미상

 

  로마 순교록은 아프리카 순교자로서 성 아비투스(또는 아비토)를 언급하고 있다. 그는 아마도 아프리카 북서부 대서양에 있는 카나리아 제도(Canary Islands)에의 사도이자 첫 번째 주교로서 존경을 받고 있는 인물과 동일인으로 여겨진다.

 

에메리오(1.27)

신분 : 수도원장

연대 : 8세기

지역 : 바뇰레스

 

   프랑스계인 성 에메리우스(또는 에메리오)는 에스파냐 북동부 카탈루냐(Cataluna)에 베네딕토회 규칙을 따르는 바뇰레스의 성 스테파누스(Stephanus) 수도원을 설립하고 초대원장으로서 수도자들을 지도하였다. 그의 어머니인 성녀 칸디다(Candida, 1월 27일)는 근처 수도원에서 은수자로서 살았다. 그는 메메리우스(Memerius) 또는 에메루스(Emerus)로도 불린다.

 

요한(1.27)

신분 : 주교

연대 : 1130년

지역 : 워너턴

 

   신심 깊고 현명하던 요한(Joannes)은 프랑스 북동부 플랑드르(Flandre)의 워너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릴 때에 운 좋게도 위트레흐트(Utrecht)의 람베르투스(Lambertus)와 샤르트르(Chartre)의 성 이보(Ivo, 5월 23일)의 제자로서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학업을 마친 후에 그는 자기 관구로 돌아왔다가 잠시 후에 프랑스 아라스(Arras) 교외에 있는 몽-생-엘로이 수도원에 들어갔다. 이때 아라스의 주교가 그를 총애하여 그 교구의 부제가 되라고 권하였는데, 이것은 테루안(Therouanne) 교구장이 되는 서막이었다. 그 후 그가 주교가 되었을 때 성좌에서 그에게 중요한 선교 사명들을 맡겼다. 그는 대중적인 인기를 끌면서 사명을 성실히 수행하여 만인의 존경과 사랑을 받았다. 교회가 엄격한 시대였지만 그 자신은 항상 온순하게 처신하였다.

 

율리아노(1.27)

신분 : 주교

연대 : 3세기?

지역 : 르망

 

   성 율리아누스(Julianus, 또는 율리아노)의 전기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으나, 그는 프랑스 르망의 초대주교이며 르망 지방의 사도로서 큰 공경을 받고 있음은 사실이다. 7세기경에 성 율리아누스 주교 대성당이 세워진 것으로 보아 그의 생존은 그보다 더 이를 것으로 본다. 어떤 전설에 의하면 그는 예수님의 72 제자 중의 한 명으로 나환자 시몬(Simon)과 동일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성 율리아누스의 공경이 영국까지 전해진 것은 르망 출신인 헨리 2세 국왕의 개인적인 신심 때문이었다.

 

율리아노(1.27)

신분 : 순교자

연대 : 150년

비역 : 소라

 

   달마티아(Dalmatia) 사람인 성 율리아누스(Julianus, 또는 율리아노)는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 때 이탈리아 캄파니아(Campania)의 소라에서 순교하였다.

 

칸디다(1.27)

신분 : 과부, 은수자

연대 : 798년경

지역 : 바뇰레스

 

   성 에메리우스(Emerius, 1월 27일)의 어머니인 성녀 칸디다는 에스파냐 북동부 카탈루냐(Cataluna)의 헤로나(Gerona) 부근에 자신의 아들이 설립한 바뇰레스의 성 스테파누스(Stephanus) 수도원 근방에서 은수자로서 살다가 선종하였다.

 

테오도리코(1.27)

신분 : 주교

연대 : 1022년

지역 : 오를레앙

 

  성 테오도리쿠스(Theodoricus, 또는 테오도리코)는 원래 프랑스 상스(Sens)의 생피에르레비(Saint-Pierre-le-Vif) 수도원의 베네딕토회 수도승이었다. 그는 왕실 고문을 역임한 후 오를레앙의 주교가 되었다. 그는 로마(Rome)를 방문하러 가는 도중 프랑스의 토네르(Tonnerre)에서 사망하였다.

 

 

(가톨릭 굿뉴스 홈에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