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슈타인(1.26)◀
신분 : 대주교
연대 : 1188년
지역 : 니다로스
노르웨이(Norway)의 국왕 잉게(Inge)의 전속 사제였던 성 아이슈타인은 1157년 니다로스(현재의
트론헤임, Trondheim)의 제2대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며, 그 후 로마(Rome)로 순례의 길을 떠나 1161년까지 돌아가지 않았다고 한다.
그 후 그는 귀족들의 간섭을 물리치고 자유롭게 노르웨이의 교회를 지도하였고, 그 당시 유럽의 교회관습들을 노르웨이 교회에 적절하게 이식하여 큰
공헌을 쌓았다. 또한 그는 교황 대사로도 활약하면서 성직자들의 공동생활을 유도하고, 또 이에 알맞은 규정을 만들었다. 왜냐하면 그 당시 노르웨이
성직자들은 독신제도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뿐만 아니라 성 아이슈타인은 자국 내의 정치
문제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는데, 그가 국왕 마그누스(Magnus)의 후원자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왕과 라이벌 관계에 있는
스베레(Sverre)란 사람 때문에 잠시 영국으로 피신하여 성 에드문즈버리(Edmundsbury) 수도원에서 지냈는데, 아마도 그는 이곳에서
노르웨의 성왕 올라부스(Olavus, 7월 29일)의 성인전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 성인전의 원고는 영국에서 발견되었다. 그 이유는 그가
자주 자신의 정신적 지주였던 캔터베리의 성 토마스 베케트(Thomas Becket, 12월 29일) 성당을 참배했기 때문이다. 그는 1183년에
스베레와 화해한 뒤 고국으로 돌아왔고, 몇 년 뒤에 운명하였다. 그의 유해는 니다로스 대성당에 안장되었고, 1229년부터 성인으로 공경을
받아왔다.
▶아타나시오(1.26)◀
신분 : 주교
연대 : 연대미상
지역 : 소렌토
성 아타나시우스는 이탈리아 남부 소렌토에서 공경을 받는 주교라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없다. 그는 아마도 정치문제에 휘말려 소렌토로 귀양을 갔던 나폴리(Napoli)의 주교 성 아타나시우스(7월 15일)와 동일인물일 수 있다.
▶안수리오(1.26)◀
신분 : 주교
연대 : 952년
지역 : 오렌세
성 안수리우스(또는 안수리오)는 915년 에스파냐 갈리시아(Galicia) 지방 오렌세의 주교로 선출되었으며 리바스 데 실(Ribas de Sil) 수도원의 설립을 도왔다. 922년 주교좌에서 은퇴한 그는 자신이 설립을 도운 그 수도원에 들어가서 여생을 수도승으로서 기도하며 보냈다. 그는 아수리우스(Asurius) 또는 이사우리(Isauri)로도 불린다.
▶알베리히(1.26)◀
신분 : 설립자, 수도원장
연대 : 1109년
프랑스 샤티용쉬르센(Chatillon-sur-Seine) 근교의 은수자였던 성 알베리히(Alberich)는 동료
은수자들과 함께 몰렘(Molesme)에 수도원을 세웠는데, 장상은 성 로베르투스(Robertus, 4월 29일)였고, 성 알베리히는 원장이었다.
수도원은 성공하였지만 새 수도자들은 엄격한 규율을 이해하지 못하여 로베르투스는 수도원을 떠났고 성 알베리히는 투옥되었다. 그 후 그 역시
떠났다가 되돌아와서 수도원 재건에 힘을 쏟았으나 성공하지 못하다가, 1098년 20명의 수도자가 시토에서 새로운 수도원을 세웠는데 총원장은 성
로베르투스, 원장은 성 알베리히 그리고 성 스테파누스 하딩(Stephanus Harding, 4월 17일)은 장상이었다. 이들이 시토회의 공동
설립자이다.
그 후 성 로베르투스는 즉시 몰렘으로 되돌아갔고, 성 알베리히가 총원장이 되었다. 그는
베네딕토회의 원회칙을 교정하고, 여기에 엄격성을 더 추가하여 시토회의 회칙을 확정지었다. 성 알베리히는 하느님을 섬김에 있어서 극도의 청빈과
심한 노동의 표양을 보였다. 그가 죽을 때 그의 후임자인 성 스테파누스 하딩은 이런 말을 하였다. “여러분은 공경하올 사부님과 영적 지도자를
잃었지만, 나는 사부님과 영적 지도자뿐만 아니라 친구이자 주님의 동료 군사를 잃었습니다.” 그는 오브리(Aubrey)로도 불린다.
▶알퐁소(1.26)◀
신분 : 주교
연대 : 9세기
지역 : 아스토르가
에스파냐 아스토르가 교구의 주교인 성 알폰수스(Alfonsus, 또는 알퐁소)는 주교좌에서 은퇴한 후 갈리시아(Galicia) 지방에 있는 성 스테파누스 데 리바스(Stephanus de Ribas) 수도원에서 수도승이 되었다.
▶코난(1.26)◀
신분 : 주교
연대 : 7세기경
지역 : 이오나
이오나의 수도승이었던 성 코난이 실재 인물이냐는 물음이 많이 있으나 실존했던 인물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정확한 자료는 없는 형편이다. 그는 아마도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성 피아크리우스(Fiacrius, 8월 30일)를 교육시킨 인물이라고 한다. 그는 스코틀랜드에서 맨(Man) 섬으로 와서 그곳 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하였고 후일 헤브리디스(Hebrides) 섬과 맨 섬의 주교로 축성되었다.
▶테오제네스(1.26)◀
신분 : 주교, 순교자
연대 : 258년
지역 : 히포 레기우스
성 테오게네스(또는 테오제네스)는 아프리카 히포 레기우스(Hippo Regius, 또는 Hippona)의 주교로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36명의 신자들과 함께 순교하였다. 현대의 학자들은 이들 순교자들이 소아시아 중서부 프리지아(Phrygia)의 라오디케아(Laodicea)에서 순교한 것으로 본다.
▶토르드지타(1.26)◀
신분 : 수녀
연대 : 700년경
지역 : 비킹
성녀 토르드지타(Thordgitha)는 성녀 에텔드레다(Etheldreda, 6월 23일)가 원장으로 있던 영국 바킹 수도원의 수련장 수녀였으며 그 수도원을 설립한 성녀 에텔부르가(Ethelburga, 10월 11일)의 친구였다. 그녀는 인내와 열정 그리고 젊은이에 대한 배려가 특별했다고 묘사되고 있다. 그녀는 육체의 마비와 실어증 등으로 숱한 고통을 겪으면서도 수차례의 환시를 경험한 것으로 전해진다. 성녀 토르드지타는 테오리지타(Theorigitha)로도 불린다.
(가톨릭 굿뉴스 홈에서)
'[가톨릭과 교리] > 축일 (聖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27일 성인들 (0) | 2006.01.28 |
---|---|
1월 27일 성녀 안젤라 메리치 동정 (0) | 2006.01.27 |
1월 26일(1월 18일)헝가리의 성녀 마르가리타 (0) | 2006.01.26 |
1월 26일 성녀 바울라 (0) | 2006.01.26 |
1월 26일 성 디모테오와 성 디도 주교 (0) | 2006.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