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데프리도(1.13)◀ (복자)
신분 : 수사
연대 : 1097-1127년
지역 : 카펜베르그
고데프리두스(Godefridus, 또는 고데프리도)는 독일 카펜베르크 성의 백작이며 뮌스터(Munster) 교구 내에 있는 베스트팔렌(Westfalen)의 대지주였다. 그가 젊은 아내를 맞이하였으나, 성 노르베르투스(Norbertus, 6월 6일)의 영향을 받고 카펜베르크 성을 에워싼 광대한 땅을 제공하여 수도원을 짓게 하였고, 자신도 아내와 의논한 뒤에 수도자가 되었다. 그의 이런 행위를 못마땅하게 여긴 집안사람들이 그를 죽이려 하였으나, 그는 끝까지 인내하여 아내와 딸들마저 수녀가 되게 하였다. 그는 자기 영지에 구호소를 비롯한 자선 기관을 설립하는 한편 묵상기도에 전념하였으며, 환자와 순례자의 발을 손수 씻기는 일도 많았다.
▶구메신도(1.13)◀ (신부)
▶세르보 데이(1.13)◀ (수도승)
신분 : 순교자
연대 : 850년
본당신부인 성 구메신두스(또는 구메신도)와 수도자인 성 세르부스 데이(Servus-Dei)는 아브탈 라흐만 2세(Abd ar-Rahman II) 왕 때 에스파냐의 코르도바(Curdoba)에서 순교하였다.
▶글라피라(1.13)◀
신분 : 동정녀
연대 : 324년
리키니우스 황제의 부인인 콘스탄티아의 여자 노예였던 성녀 글라피라는 자신의 정결을 보호하기 위해 아마세아(Amasea)의 성 바실레우스(Basileus, 4월 26일) 주교에게 피신하였으나 다시 붙잡혀 사형선고를 받고 순교의 월계관을 썼다.
▶레온시오(1.13)◀
신분 : 주교
연대 : 337년
지역 : 카이사레아
카파도키아(Cappadocia) 지방 카이사레아의 주교인 성 레온티우스(또는 레온시오)는 325년에 열린 니케아(Nicaea) 공의회의 교부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특별히 성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5월 2일)에게 칭찬을 받았고, 그리스인들에 의해 평화의 천사로 불린다.
▶베로니카(1.13)◀
신분 : 수녀
연대 : 1497년
지역 : 비나스코
성녀 베로니카의 부모는 이탈리아 밀라노(Milano) 교외에서 힘든 노동을 하며 살던 가난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너무나 가난하여 딸에게 학교 교육을 시키지 못하였으므로 베로니카는 읽지도 못했지만, 어머니의 신심에 힘입어 하느님 사랑만큼은 어느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그녀는 성실하고 일 잘하는 여자로 손꼽혔고 또 지극히 겸손하였다. 그녀가 들일을 할 때에는 동료들과 될 수 있으면
멀리 떨어져서 잡담보다는 하느님을 관상하는데 시간을 보냈다. 이리하여 그녀는 밀라노의 성 아우구스티누스 회에 들어갈 허락을 받았다.
그녀는 입회했을 때부터 한밤중에 일어나 기도하였고 또 읽고 쓰기를 익혔다. 그러나 학업이 극히 부진함으로
원장은 만일 그녀가 세 글자를 알지 못하면 내쫓겠다고 하였다. 첫째는 마음의 순결이었고, 두 번째는 다른 사람의 죄나 과오에 대하여 불평하지
않는 것 그리고 셋째는 그리스도의 수난에 대하여 매일 묵상하는 내용이었다. 3년의 준비기간 동안 그녀는 이 모든 것을 규칙 그대로 실행하여
모범적인 수도자로 변신했다. 그 후 그녀는 무슨 일을 하든지 그 일속에서 탈혼에 빠졌고, 또 가끔씩은 환시를 보았다고 한다. 그녀는 자신이
예언한 날에 선종했는데, 그때 그녀의 나이는 52세였다고 한다.
▶베르노(1.13)◀
신분 : 수도원장
연대 : 927년
지역 : 클뤼니
프랑스의 부르고뉴(Bourgogne)에서 태어난 성 베르누스(Bernus, 또는 베르노)는 훌륭한 가문 출신인 듯하고 재력도 상당하였다. 그는 지니에 수도원을 세웠고, 브장송(Besanion) 교구의 바움(Baume) 수도원을 개혁하였다. 성 베르노는 클뤼니 수도원을 910년부터 17년 간 지도하여 수도생활의 중심지로 만들었으며, 성 오도(Odo, 11월 18일)가 그의 제자였다.
▶비벤시오(1.13)◀
신분 : 은수자
연대 : 400년
성 비벤티우스(또는 비벤시오)는 사마리아 사람으로서 사제가 된 후 서방을 여행하고 푸아티에(Poitiers)의 성 힐라리우스(Hilarius, 1월 13일)를 흠모하여 그와 함께 아리우스주의(Arianism)에 맞섰다. 그는 은수자로서 자신의 삶을 마감하였다.
▶사티로(1.13)◀
신분 : 순교자
연대 : 267년
성 사티루스(또는 사티로)는 아라비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우상에 대한 모욕적인 행동으로 아카이아(Achaia)에서 순교하였다. 또 다른 전승에 의하면 성 사티루스가 우상 위로 십자성호를 만들었을 때 그 우상이 땅바닥에 떨어졌다고 한다.
▶스트라토니코(1.13)◀
▶헤르밀로(1.13)◀
신분 : 순교자
연대 : 315년
성 헤르밀루스(Hermylus)와 성 스트라토니쿠스(또는 스트라토니코)에 대한 불확실한 순교록에 의하면 성 헤르밀루스는 신기두눔(Singidunum, 오늘날 유고슬라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 Beograd)의 부제였고, 성 스트라토니쿠스는 그의 하인이었다. 그들은 리키니우스 황제 때 도나우(Donau) 강에 던져져 순교하였다.
▶아그리시오(1.13)◀
신분 : 주교
연대 : 333년경
지역 : 트리어
성 아그리티우스(또는 아그리시오)는 안티오키아(Antiochia)의 초대 주교였으나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모친인 성녀 헬레나(Helena, 8월 18일) 황후의 요청으로 독일 남서부 트리어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주민들의 대다수가 이교도였던 트리어 지방은 그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일약 그리스도교의 중심지로 변화되어 갔다. 또한 그는 성녀 헬레나의 도움과 권고를 받아 성지에서 발견되는 고귀한 유물에 대한 회수작업을 개시하였다. 그는 예수님께서 달리셨던 십자가의 못 한 개, 최후의 만찬 때에 사용된 칼, 성 라자루스(Lazarus, 12월 17일)와 성녀 마르타(Martha, 7월 29일)의 유해 등 수많은 역사적인 유물을 찾아 트리어로 보냈다. 그는 트리어의 성 아그레키우스(Agrecius)로도 불린다.
▶안드레아(1.13)◀
신분 : 주교
연대 : 235년
지역 : 트리어
일부 기록에 의하면 성 안드레아(Andreas)는 독일 트리어 교구의 제12대 주교였다. 그는 가끔 순교자로서 기록되기도 하였다.
▶에노가토(1.13)◀
신분 : 주교
연대 : 631년
지역 : 알레스
성 에노가투스(또는 에노가토)는 성 말로(Malo, 11월 15일)를 계승하여 프랑스 브르타뉴(Bretagne) 지방 알레스 교구의 제5대 주교가 되었다.
▶이베타(1.13)◀ (복녀)
신분 : 과부
연대 : 1158-1228년
지역 : 위
이베타는 성 도미니코(Dominicus, 8월 8일)와 성 프란치스코(Franciscus, 10월 4일)가 남부 유럽 지역에서 활동하던 시절에 명성을 떨치던 신비가이다. 그녀는 벨기에 리에주(Liege)의 위(Huy)에서 좋은 집안의 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부모의 강권에 의하여 어린 나이에 결혼하여 5년을 살면서 3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18세의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 그때부터 그녀는 자유롭게 되어 자신이 원하는 생활을 하였으나 마음에 차지 않아 마르타(Martha)의 역할을 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래서 그녀는 나환자들 곁에 손수 집을 짓고 죽을 때까지 은수자로서 기도에 열중하면서 나병환자들을 돌보았다. 그녀의 신비체험은 역사가의 손에 의하여 라틴어로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녀는 유타(Jutta)로도 불린다.
▶켄티게른(1.13)◀
신분 : 주교, 설립자
연대 : 518-603년
지역 : 스트래스클라이드(Strathclyde)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성 켄티게른은 영국의 공주인 타레이의 아들로서 ‘문고’(Mungo)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타레이 공주가 낯선 사람으로부터 임신한 줄 알고는 벼랑에 떨어져 죽으려 하였지만, 아이가 불쌍하여 벼랑 끝으로 내려와서 조각배를 타고 정처 없이 떠내려가다가 성 세르프(Serf)에 의하여 구조되었다. 그녀가 마침내 아이를 낳으니 성 세르프가 문고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성 문고는 세르프 성인의 제자가 되어 글래스고(Glasgow)에서 은수자가 되었는데, 그의 인품과 성덕이 탁월하여 540년경에 스트래스클라이드(Strathclyde)의 주교로 축성되었다. 553년경에 그는 글래스고로 돌아와서 운명하였는데, 스코틀랜드의 첫 번째 주교로서 기억되고 있다.
▶포시토(1.13)◀
신분 : 순교자
연대 : 연대미상
성 포티투스(또는 포시토)는 이탈리아 나폴리(Napoli) 교구에서 소년 순교자로서 공경을 받는데, 그의 현존하는 행적들은 전설적이다.
(가톨릭 굿뉴스 홈에서)
'[가톨릭과 교리] > 축일 (聖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14일 성녀 마크리나 (0) | 2006.01.14 |
---|---|
1월 14일 복자 오도릭과 성 질스 은수자 (0) | 2006.01.14 |
1월 13일 성 힐라리오 주교 학자 (0) | 2006.01.13 |
1월 12일 성인들 (0) | 2006.01.12 |
1월 12일 꼬를레오네의 성 베르나르도 (0) | 2006.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