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들의 통공’ 기억하며 죽은 이들 위해 기도바쳐야
“성당에서는 죄가 있는 사람이 죽으면 먼저 연옥으로 간다고 하더군요. 자세히 알고 싶어 천주교 신자에게 이것저것 물어봤어요. 답변을 듣자니 어이가 없었습니다. 그냥 성당에 가면 전부 다 가르쳐 준다는 거예요.” 최근 한 개신교 신자 모임 카페의 ‘이웃 종교(천주교, 불교)’ 게시판에 올라온 글의 일부다. 이어 답 글에는 “앎이 없는데 어떻게 신앙생활을 할까요.(이모씨)”, “대신 좀 가르쳐 주시지 그랬어요.” 등의 의견이 올라와 있었다.
이 같은 글은 천주교 신자들의 ‘재복음화’ 문제의 심각성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사명인 ‘복음화’의 가장 중요한 영역은 신자 개개인의 재복음화다. 재복음화가 전제돼야 다른 복음화 영역도 함께 맞물려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신앙인들은 믿기 위해 알고 이해해야 하며, 알기 위해 또한 믿어야 한다. 11월, 위령 성월을 지내며 가톨릭 신자들의 ‘재복음화’, ‘재교육’ 차원에서 위령 성월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알아본다.
11월은 세상을 떠난 이들을 기억하며 기도하고 또한 자신의 죽음을 묵상하는 위령 성월이다. 특별히 연옥 영혼들을 기억하고 기도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연옥 영혼은 죄로 손상된 주님의 공의를 완전히 보상하지 못해 정화될 수 있는 잠벌의 단련을 받아야 한다고 교회는 가르친다. 연옥 영혼들은 스스로 정화할 힘은 없으나 세상에 있는 열심한 신자들의 기도로 큰 도움을 받을 수는 있다. 또한 교회는 연옥 교리에 연옥 영혼을 위한 기도의 교리까지 포함된다고 가르친다.
이러한 연옥 교리는 구약성경에 명백히 기록되어 있으며 유다인들도 충실히 신봉해왔다. 또한 연옥 교리에 관한 신학적 근거는 예수 그리스도의 행적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수는 생전에 유다교 법전 중 쓸모없는 주문을 빼버리고 그 교리 중 조작된 전습 부분을 폐기, 정화했다. 그럼에도 당시 유다인 사이의 전통적 관행인 사후 중간 장소 존재를 믿는 마음으로 죽은 이를 위한 기도 행위에 대해서는 비난하시거나 꾸짖으신 적이 전혀 없다. 꾸짖기는커녕 연옥의 존재에 대해 전했다.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현세에서도 내세에서도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마태 12,32)
“성령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내세에서도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라는 말씀에는 내세에서는 용서 받을 수 있는 죄도 있다는 의미가 함축돼 있다. 이는 천국이나 지옥을 일컫는 말이 아니다. 지옥의 벌은 영벌이므로 사죄란 있을 수 없으므로 죄의 정련을 받는 연옥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교부들 또한 한결같이 연옥 교리에 대해 증언하고 있다. 4세기의 치릴로 성인은 “우리는 별세한 교황과 주교들을 기도 중에 기념한다. 이는 지극히 성스럽고 지고한 제례를 봉헌 할 때 주께 드리는 우리의 기도가 그들의 영혼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믿는 까닭이다”라고 했다. 4세기의 성 에프렘은 임종 당시 “죽은 뒤에 형제들이 기도하러 모이거든 부디 나를 잊지 말고 기억해 주길 바란다. 죽은 자의 영혼은 산 성인의 기도로 큰 이익을 받는 법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크리소스토모 성인도 “사도들이 지극히 거룩한 미사 중에 죽은 이를 위하여 기도하라고 명령한 것은 실로 지당하다. 이는 죽은 이들을 위한 기도가 저들에게 유익하다는 것을 잘 아는 까닭이었다”라고 말하며 연옥 교리에 대해 증언했다.
신앙인들이 11월 위령 성월을 보내며 한 가지 더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
연옥 영혼을 위한 기도를 포함한 연옥 교리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위령 성월의 또 다른 신학적 근거는 ‘모든 성인의 통공’에 대한 교리다.
‘모든 성인의 통공’은 시작도 끝도 없으시며 시공간을 초월하시는 하느님 앞에서는 먼저 세상을 떠난 이들은 물론 천상의 성인들 또한 교회의 지체이자 구성원임을 가르친다. 현세의 교회는 연옥 영혼들의 교회, 천국 성인들의 교회와 함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몸을 이룬다. 따라서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지체들이라는 유대감으로 같은 공동체에 속해 있는 우리는 죽은 이들의 영혼을 위해 기도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천상에 있는 성인들도 우리와 죽은 영혼을 위해 기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하느님께서는 자신의 선하심을 개인보다는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 안에서 더욱 풍요롭게 나눠주신다. 그래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행사하는 모든 사랑과 희생의 행위는 공동체적 차원으로 승화되는 것이다.
이렇듯 세상을 떠난 이들의 영혼을 위한 기도는 단순히 그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 세상에서의 순례를 계속하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우리의 기도를 통해 천상의 교회로 들어선 이들은 그 공덕을 잊지 않고 다시 우리를 위해 끊임없이 기도해줄 것이다.
예수께서 가르치신 신앙 교리 중 죽은 이를 위한 기도의 유효성을 말씀하신 연옥 교리는 현세를 살아가는 우리 신앙인들에게 큰 위안을 준다. 이 위안은 죽음의 모든 비통을 완화하여 희망의 빛을 주며 죽은 이와의 기도를 통해 애정의 기억을 날로 새롭게 할 수 있다. 사랑의 정이 유별나던 부모 형제들을 사후에도 기도를 통해 도움으로써 연옥의 고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신앙은 생명의 영원성을 더욱 깊이 깨닫게 하고 다시 이별의 비애도 없고 죽음도 없는, 다만 환희와 평화만이 가득 찬 안식향에서 영원히 함께 즐길 수 있게 된다는 확고한 희망을 준다.
'[가톨릭과 교리] > 가톨릭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있는 가톨릭 교리] (1) 하느님께서 우리를 부르신다 (0) | 2011.06.19 |
---|---|
대림시기 의미와 전례, 생활 (0) | 2010.11.28 |
[묵주기도 성월 특집] “묵주기도 생활화로 삶 안에서 주님 만납니다” (0) | 2010.10.10 |
[그건 이겁니다] 개신교를 기독교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 (0) | 2010.08.01 |
[성모님 이야기]- (1) 성모님 향한 남다른 사랑 (0) | 2010.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