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860

4. 파리외방전교회 입회 그리스도 알지 못하는 이들에게 복음의 빛 비추는 선교사가 되다 브뤼기에르 주교는 카르카손교구에서 10년간 사제 생활을 한 뒤 33세로 1825년 9월 17일 파리외방전교회에 입회했다. 파리외방전교회 전경 1825년 9월 17일 파리외방전교회에 입회 저는 1825년 9월 17일 파리외방전교회에 입회했습니다. 사제수품 10년 차 서른셋 나이에 뒤늦게 ‘교황 파견 선교 사제’가 되려 합니다. 스물세 살에 사제품을 받고 카르카손교구 소신학교 교사로 3년간 생활한 후 대신학교 교수로 활동했습니다. 그리고 고작 스물여섯에 철학의장이 됐습니다. 이후 1818년 7월 19일 카르카손교구 명예 참사회 사제로 임명됐습니다. 저는 대신학교 교수로 재직할 때, 신학생들에게 늘 “하느님의 영광과 그리스도인이 아닌 비신자들의 구.. 2024. 4. 15.
3. 1815년 사제품을 받다 교황 파견 선교 사제가 되기 위해 파리외방전교회로 떠나다 하느님의 종 브뤼기에르 주교는 프랑스 대혁명으로 혼란에 빠져 있던 1792년 2월 12일 프랑스 남부 카르카손 나르본의 작은 마을 레삭 도드에서 태어났다. 사진은 오드 강과 오르비외 강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레삭 마을 전경. 한국교회사연구소 제공 부모님께 작별을 고하는 편지를 쓰다 “사랑하는 부모님, 하느님의 뜻에 따라 이제까지 지상에서 아낌없이 사랑해온 모든 것과 이별해야 할 시간이 되었기에 부모님께 이 서한을 올립니다. 우리를 구원하고자 당신 독생 성자를 희생하신 하느님께서 이제 두 분의 아들인 저를 요구하십니다. 어찌 그 희생을 거부할 수 있겠습니까? 저는 오직 하느님의 영광만을 추구합니다. 부족한 제가 양심을 깊이 성찰하면 할수록 은혜롭게도.. 2024. 4. 15.
2. 1824년 조선 교우들이 교황께 보낸 편지를 접하다 제가 주님의 선교사가 되어 조선의 밀알이 되겠습니다 1824년 조선 교우들이 레오 12세 교황에게 쓴 편지의 라틴어 번역본. 이 편지를 번역한 움피에레스 신부가 마카오에서 브뤼기에르 주교에게 그 내용을 전했고, 브뤼기에르 주교는 처음으로 자신이 조선 선교를 자원하겠다는 뜻을 카르카손교구 총대리 귀알리 신부에게 쓴 편지에서 밝힌다 조선 교우들이 레오 12세 교황께 보낸 편지를 접하다 “중국 동북쪽에 조선이라 불리는 왕국이 있습니다. 지금 세기(19세기) 초반에 북경에서 개종한 어느 조선인 청년의 열성으로 천주교가 이 나라에 전래되었습니다. 그는 자기 나라에 돌아가서 자기네 동포들의 사도가 되어 많은 사람을 개종시켰습니다. 자신의 열성으로 그는 순교자가 되기에 충분했습니다. 교회의 도움을 얻지 못한 신입 교.. 2024. 4. 15.
1. 연재를 시작하며 “주님, 하느님의 종 브뤼기에르 주교가 성인 대열에 들게 하소서” '하느님의 종’ 바르톨로메오 브뤼기에르 주교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모든 성인들의 덕행으로 찬미와 영광 받으시는 주님! 주님께서는 성교회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의 신앙을 증거하기 위하여 생명을 바친 성인성녀들을 공경하여 그 표양을 본받게 하셨나이다. 조선 선교를 자청한 뒤 온갖 고난과 질병을 극복하면서 오로지 조선에 들어가 선교하겠다는 굳은 신념으로 온 삶을 봉헌한 브뤼기에르 주교의 공로에 의지하여 청하오니 저희들이 거룩한 순교정신을 본받아 신망애 향주삼덕에 뿌리를 박고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가도록 도와주소서. 브뤼기에르 주교의 공로로 저희를 이 세상에서 보호하시며 저희의 마음속 지향을 들어 허락하심으로써 .. 2024. 4. 15.
[그때 그 순간 40선] 15. 앵베르 주교의 사목활동 앵베르 주교, 제사 음식 나눔·전통 혼례 인정… 우리말 기도문 새롭게 번역 성 앵베르 라우렌시오 주교 1837년 겨울 조선 땅을 밟은 첫 주교 브뤼기에르 주교의 뒤를 이어 모방 신부가 조선에 첫발을 딛고, 그 해 겨울 세 신학생을 유학 보내면서 대신 중국에 있던 샤스탕 신부가 조선에 들어왔다. 그리고 다시 1년 후에 제2대 조선대목구장 앵베르(Imbert) 주교가 조선에 들어오면서 주교로서 처음으로 조선에 입국하였다. 그 후 1839년 기해박해로 순교하기까지 조선 교회는 3명의 선교사가 이끄는 대목구가 되었다. 그렇다면 앵베르 주교의 사목 방침은 어떠했을까? 앵베르는 사제 수품 후 중국 사천(四川) 선교사로 임명되어 12년간 사목활동을 하면서 티베트와의 국경에 모팽(Moupin) 신학교를 세우는 등 많은.. 2024. 4. 15.
15. 성 유정률 베드로 성 유정률 베드로, 세례 받은 후 예수님 사랑 깨닫고 부활의 증인이 되다 윤영선 작 ‘성 유정률 베드로' 출 생 | 1837년 평안남도 대동군 순 교 | 1866년(29세) 평양 감영 / 장사 신 분 | 회장 거룩한 순교로 부활의 희망과 기쁨 증거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부활을 통해 우리가 죽음 이후 내세에서도 영원히 하느님의 사랑 안에 머물게 될 것임을 보여주셨다. 오늘날 우리는 현세에서 주님 부활 대축일의 전례를 통해 부활의 기쁨과 환희를 체험하게 된다. 예수님은 우리를 대신해서 죽기까지 했으나 그분의 제자들마저 부활을 믿지 못하고 의심하였다. 그런데도 예수님은 그들 앞에 다시 나타나 인간적인 의심마저 거두어주시면서 영원한 생명을 약속해주셨다. 우리에게 이보다 크고 기쁜 선물이 어디 있을까. 이렇.. 2024. 4. 15.
(68) 하까이서 하까이 예언자는 기원전 520년 8월부터 12월까지 4개월간 활동하면서 바빌론 포로생활에서 귀환한 유다인들에게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하라고 호소했다. 하까이 예언자 이콘 구약 성경 제1경전 「타낙」의 히브리어 ‘하까이’는 우리말로 ‘나의 축제’라는 뜻입니다. 이를 음차해 헬라어 구약 성경 「칠십인역」은 ‘Αγγαιοs’(하까이오스)로, 라틴어 대중 성경 「불가타」는 ‘Aggaeus’,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가 발행한 우리말 「성경」은 ‘하까이서’로 표기합니다. 하까이 예언자는 “다리우스 임금 제이년 여섯째 달 초하룻날”(1,1)에 활동한 예언자입니다. 다리우스 1세는 기원전 522년부터 기원전 486년까지 페르시아를 통치한 임금입니다. 하까이 예언자는 기원전 520년 8월 27일부터 12월 사이에 약 4개월.. 2024. 4. 15.
작아지는 삶 나이가 들면서 사람들은 조금씩 작아집니다 꿈도 작아지고 욕심도 작아지고 미움도 작아집니다 살아가면서 작아지는 삶! 작아지면서 어른이 되고 작아지면서 겸손이 되고 작아지면서 사랑이 됩니다 시와 그림=김용해(요한) 시인 2024. 4. 15.
구례 밥봉 아래 중대리, 하천마을, 화개장터 밥봉 아래에서 중도에 포기하고 중대리와 하천마을, 화개장터를 다녀왔습니다. 전남 구례군, 전남 광양시, 경남 하동군 3개 시군을 아우르는 의미있는 산행이었습니다. 2024. 4. 12.
경기둘레길 53코스 배곧한울공원 ~ 시흥연꽃테마파크 경기둘레길 53코스는 배곧한울공원 해수체험장 앞에서 출발하여 생명공원, 해넘이다리, 월곶포구, 시흥갯골공원을 지나 시흥연꽃테마파크 옆까지 약 18Km정도 걷는 코스입니다. 2024. 4. 4.
(15) 이스라엘의 위대한 지도자 모세 십계명판을 들고 있는 모세_렘브란트 중고등부 시절 소풍과 단체 영화관람은 가장 신나는 시간이었다. 당시 대작들로 꼽히는 유명한 작품들을 단체 영화관람으로 많이 보았다. 여학교에서 같은 시간에 관람 계획이 잡히면 어떻게 소문을 들었는지 온 학교가 술렁거리기도 했다. 찰턴 헤스턴이 모세로 출연한 영화 ‘십계’도 보았지만, 사실 그때는 성경의 배경을 잘 모르니 어떤 영화였는지 이해가 쉽지 않았다. 다만 흰 수염이 긴 모세가 지팡이를 휘두르자, 홍해가 갈라져 이스라엘 백성들이 물기둥 사이로 탈출하는 장면은 지금도 기억이 생생하다. 영화의 줄거리는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모세가 지도자가 되어 이집트에서 탈출시켜 이스라엘로 돌아오는 내용이다. 모세는 지금도 이스라엘 백성에게 민족의 구원자로 .. 2024. 4. 2.
(14) 하느님에 대한 믿음으로 고난 이겨낸 요셉 장자크 포티 作 ‘요셉의 옷을 알아보는 야곱’ 좋은 일에는 방해되는 일이 많다는 '호사다마‘(好事多魔), 재앙이 바뀌어 오히려 좋은 일이 생긴다는 ’전화위복‘(轉禍爲福)은 우리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四子成語)이다. 인생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렵다는 새옹지마(塞翁之馬)도 자주 쓴다. 그 유래는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변방 노인의 말(馬)에서 나온 말이다. 전쟁이 자주 일어나던 중국 북쪽 변방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다. 그가 기르던 말 한 마리가 어느 날 도망가 버렸다. “말이 도망가서 얼마나 상심이 크십니까?”라며 위로했다. 노인은 “이 일이 복이 될지 어찌 알겠소”라며 오히려 담담했다. 얼마 뒤 도망갔던 말이 많은 야생마들을 끌고 노인에게로 돌아왔다. 사람들은 놀라며 .. 2024.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