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감상실]/실내악 100선

실내악 100선 [26] 베토벤 / 현악4중주 9번 '라주모브스키에게 바치는 노래'

by 세포네 2012. 7. 23.


 
                String Quartet No.9 in C major, Op.59-3
                       "Rasumovsky No.3"
                         베토벤 / 현악4중주 9번 '라주모브스키에게 바치는 노래'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1805년말부터 다음 해에 걸쳐서 베토벤은 빈 주재 러시아 대사인 라주모프스키 백작의 의뢰 로 제7번부터 제9번까지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한다. 소위 <라주모프스티 4중주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세곡이 그것이다. 작품 59인 이 세곡에는 베토벤 중기의 원숙한 작법이 밀도 있게 집약되어 있다. 동시에 베토벤은 이 세곡으로 현악 4중주곡이라는 새 음악 양식을 확립하게 된다. 이 세곡은 그의 후기 4중주곡들과 함께 불후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제9번은 <월광> 소나타나 교향곡 제5번 등과 맞먹는 대중성을 지니고 있어서 그의 현악 4중주곡 중에서도 가 장 많이 연주된다. 곡 자체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각 악장의 주제가 모두 명확하게 쉽게 받아 들여진다. 특히 3악장 메뉴에트에서 아타카로 이어지는 4악장은 푸가의 수법을 도입한 장려한 음악이다. 시종 빠른 움직임으로 숨막히는 긴장감과 약동하는 박력을 보이고 있어서 마치 교 향곡을 듣는 듯한 흥분을 자아내게 한다.

I. "Introduzione: Andante con moto - Allegro vivace"
II. "Andante con moto quasi allegretto"
III. "Menuetto: Grazioso"
IV. "Allegro molto"

이 현악 4중주곡 3곡은 Beethoven이 열정 sonata를 작곡하고 제4교향곡 완성할 시기(時期)에 작곡되었으며 Beethoven의 창작의욕(創作意慾)이 왕성(旺盛)한 때로 신선(新鮮)한 내용과 기교(技巧)를 보인 의욕적(意慾的)인 것이었다. 또한 이 3곡에는 Beethoven 중기(中期)의 원숙(圓熟)한 작곡법이 집약(集約)되어 있으며 Beethoven 현악 4중주곡이라는 새로운 음악 양식(音樂 樣式)을 확립(確立)하게 되었고 그의 후기(後期) 현악 4중주곡들과 불후(不朽)의 걸작(傑作)으로 지칭(指稱)되며 특히 제9번은 월광 sonata와 교향곡 제5번 C단조와 같이 대중성(大衆性)을 지니고 있어 가장 많이 연주(演奏)된다.
규모(規模)는 크지 않지만 각 악장(樂章)의 주제가 명확(明確)하며 3악장 minuet 에서 attacca로 이어지는 4악장은 Fuga의 수법(手法)을 도입(導入)하여 빠른 연주(演奏)와 긴장감(緊張感), 박력(迫力)이 있어 교향곡을 듣는 듯하다. Beethoven 연구가(硏究家) Wilhelm von Lenz는 이 현악 4중주 3곡을 하늘에서 내려온 3개의 기적(奇蹟)이라고 부르는데 Beethoven의 작품(作品)들을 보면 천재(天才)의 부단(不斷)한 노력과 필연(必然)의 귀결(歸結)이었다는 점에서는 돌연(突然)한 현상(懸象)의 기적(奇蹟)은 아니다. 이 라주모프스키의 제1번의 최초(最初) sketch는 1804년에 시작했는데 1805년에 라주모브스키 백작으로부터 의뢰(依賴)가 있어 1806년에 완성(完成)하여 1808년 1월에 출판(出版)하였다. 파울 베커(Paul Bekker)는 “힘을 평정(平定)한 의식(意識)으로부터 시작되어 감정(感情)의 발전(發展)에 따라 교묘(巧妙)하게 만들어져 있다.“ 라고 말했다. 이 <현악4중주>는각 악장(樂章)이 sonata 형식(型式)이며 당당한 제1악장에 이어 장대(長大)한 sonata 형식의 scherzo를 배치(配置)하고 거기에 느린 악장이 이어지는 것이 제9교향곡을 연상(聯想)하게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