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감상실]/클래식 교향곡

말러 / 교향곡 제7번 '밤의 노래'

by 세포네 2014. 12. 12.
728x90


                  Symphony No.7 'Lied der Nacht'
                            말러 교향곡 7번 ‘밤의 노래’
                           Gustav Mahler 1860-1911 


       


Claudio Abbado, conductor
Lucerne Festival Orchesta
Culture and Convention Centre, Lucerne


말러 교향곡 7번은 말러의 교향곡들 가운데서도 가장 어려운 작품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실상 이 곡을 들어보면 흥미진진한 소리로 가득한 음악적 만화경 같아서 그 다채로운 음향 세계에 집중한다면 의외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말러의 교향곡 7번 역시 교향곡 5번과 마찬가지로 어두운 분위기에서 빛나는 승리의 음악으로 마무리되는 5악장 구성의 교향곡이다. 그러나 광명이 찾아오는 시점은 조금 다르다. 교향곡 5번에선 3악장을 전환점으로 하여 4, 5악장에서 사랑과 기쁨에 찬 빛의 음악이 찾아오지만, 교향곡 7번에선 마지막 5악장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결코 찬란한 광명의 음악을 들을 수 없다.
무려 네 악장에 걸쳐 어두운 밤의 음악이 흐르고 있는 탓에, 작곡가 자신이 표제를 붙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교향곡 7번은 종종 ‘밤의 노래’라 불리기도 한다. 이는 이 교향곡의 2악장과 4악장에 ‘Nachtmusik’(밤의 음악)라는 타이틀이 붙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5악장만큼은 밝고 찬란한 음악임에도 교향곡 7번을 ‘밤의 노래’라 부르는 것이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아마도 밤의 음악이 너무나 오래 계속되는데다 5악장의 찬란함이 너무나 갑작스러워 비현실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리라.

밤의 신비롭고 관능적인 이미지
악장별 작곡 순서만 보아도 교향곡 7번의 핵심 개념은 ‘밤’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말러는 1904년 여름에 먼저 ‘Nachtmusik’(밤의 음악)이란 제목의 2악장과 4악장을 먼저 완성한 후 이듬해 여름에 나머지 1, 3, 5악장을 완성했다. 작곡 순서로 볼 때 밤의 악장인 2, 4악장을 바탕으로 나머지 악장들이 탄생한 셈이다. 따라서 교향곡 7번의 ‘밤’은 어떤 의미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이 교향곡을 이해하는 열쇠가 될 것이다.
1908년에 말러 교향곡 7번이 프라하에서 초연될 당시 말러의 숭배자들은 이 교향곡에 ‘밤 여행’이라는 타이틀을 붙이자고 제안했는데, ‘밤 여행’이라는 아이디어는 독일 낭만주의 문학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주제다. 7번의 ‘밤의 노래’ 악장들을 작곡할 당시 아이헨도르프의 시에 심취했었던 말러는 이러한 ‘밤 여행’의 아이디어에서 음악적 영감을 얻었던 것 같다. 낭만주의 문학에서 ‘밤 여행’은 매우 위험한 개념이기도 하다. 낭만주의 작가 호프만이 말했듯 밤은 내면의 평화와 고요한 시간일 뿐만 아니라 어두움의 세계에 속한 초자연적인 힘이기도 하기에. 밤은 우리에게 안식을 주면서 동시에 우리를 위협할 수도 있다. 그것이 밤이 지닌 이중성이다. 이러한 이중적 이미지는 말러의 음악 속에서 장ㆍ단조의 교차와 불규칙한 악절로 표현되면서 긍정과 부정이 뒤섞인 묘한 불안감을 풍긴다.
1악장은 갖가지 밤의 소리로 가득하다. 목관악기들은 밤의 새소리와 풀벌레 소리 같은 신비로운 음향을 만들어내는가 하면 하프와 바이올린이 꿈에 그리던 천상의 음악을 들려주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느린 도입부에서 현악기의 인상적인 리듬을 바탕으로 펼쳐지는 테너 호른의 솔로야말로 밤의 혼란스런 느낌을 잘 표현하고 있다. 테너 호른은 정통 클래식 오케스트라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악기로 호른과 튜바의 음색을 섞어 놓은 듯한 음색을 지니고 있다. 거리의 음악이나 군악대에서 간혹 사용되던 테너 호른을 과감하게 편성해 색다른 밤의 선율을 만들어낸 말러의 독창적인 음향 감각은 감탄스럽다.
느린 도입부에 이어 템포가 빨라지면서 본격적으로 주요 주제들이 등장하는데, 그중 첫 번째 주제는 고전음악에선 드물게 4도 음정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매우 현대적으로 들린다. 1악장의 핵심은 역시 발전부 말미에 하프의 연주에 이어 바이올린이 고음으로 연주하는 천상의 음악이라 하겠다. 제시부의 제2주제를 바탕으로 한 이 부분에는 말러 교향곡 2번의 4악장 ‘근원의 빛’(Urlicht)의 선율이 인용되고 있어서 더욱 정화된 분위기를 풍긴다. 그러나 근원의 빛은 곧 사라지고 4도 음정으로 쌓아올린 난해한 제1주제가 수수께끼 같은 질문만을 남긴 채 1악장을 끝낸다.
‘밤의 음악’이란 타이틀이 붙어 있는 2악장에서 본격적인 밤으로의 행진이 시작된다. 행진이 시작되기 전 주위를 환기시키는 호른의 멜로디가 힘차게 울려 퍼지고 멀리서 이에 답하는 메아리가 들려온다. 몇 차례의 부름과 응답이 이어진 뒤 밤 속으로 향하는 불안한 행진이 시작되는데 그 행진곡은 밤에 대한 알 수 없는 두려움을 나타내듯 장조와 단조가 교차하며 희망과 절망의 공존을 표현해낸다.

위협적인 죽음의 왈츠와 되찾은 환희
3악장은 죽음의 그림자가 어른거리는 무시무시한 음악이다. 말러는 이 악장에서 19세기 빈을 상징하는 왈츠 리듬을 넣어 ‘죽음의 왈츠’라는 독특한 음악을 만들어냈다. 말러는 도입부에 ‘그림자처럼’(schattenhaft)이라는 지시를 써 넣었는데, 과연 첫 도입에서부터 그림자와 같이 불확실한 혼돈만이 있을 뿐 명확한 선율을 찾아낼 수가 없다. 여기저기서 멜로디의 파편과 날카로운 악센트가 갑작스럽게 튀어나왔다가는 황급히 사라져버린다. 이는 마치 우리 눈앞에 어지럽게 출몰하는 유령의 그림자 같은 음악이다. 영원히 끝날 것 같지 않은 끊임없는 음의 연속, 탄식하는 듯한 목관의 선율, 여기저기에 악센트가 붙은 기괴한 왈츠가 이어진다. 그리고 마지막에 이 모든 음악의 단편들을 조각조각 이어 붙인 몽타주 음악이 연주되면서 기괴한 악마의 춤은 막을 내린다.
두 번째 ‘밤의 음악’인 4악장은 달콤한 바이올린 솔로로 시작된다. 2악장이 밤으로의 행진곡이라면 4악장은 밤의 세레나데다. 독주 바이올린의 비상하는 선율은 밤의 낭만적 감성을 일깨우며 로맨틱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연인의 창가에서 부르는 전통적인 세레나데와 마찬가지로 이 악장에도 기타와 만돌린 등의 발현악기(손가락으로 현을 퉁겨 연주하는 현악기)가 편성되어 세레나데의 분위기를 강조한다. 밤의 신비로움과 관능적인 분위기가 감도는 4악장에 대해 음악학자 슈페히트는 “사랑과 신비로운 속삭임, 연못의 파문, 그리고 오래된 마을 광장에 서 있는 보리수의 살랑거리는 소리들로 가득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5악장이 시작되면 갑자기 노골적인 C장조의 온음계 화성과 기쁨에 들뜬 오케스트라의 환희가 터져 나온다. 그 순간 여태까지의 부정적이고 어두웠던 밤의 이미지는 완전히 사라져버린다. 길고 긴 밤 여행으로 인한 여독이 채 풀리기도 전에 아무런 예비도 없이 갑작스럽게 등장하는 팀파니의 타격과 C장조의 노골적인 장3화음은 듣는 이를 어리둥절하게 한다. 지나치게 밝고 화려해서 도무지 이런 갑작스런 환희가 믿어지지 않을 정도다.
그래서 철학자이자 음악학자인 아도르노는 5악장에 대해 “화려한 외부와 궁핍한 내부 사이의 불균형”이라 비판했고, 음악학자 데릭 쿡 역시 이 악장을 실패작으로 보기도 했다. 그러나 바그너의 <마이스터징어 전주곡>과 레하르의 <유쾌한 미망인> 왈츠의 인용구, 그리고 우아한 미뉴에트와 터키 풍의 삽입구 등 잡다한 음악의 메들리로 이루어진 이 찬란한 음악이 듣는 이의 마음을 한껏 들뜨게 하는 것만은 분명하다.
728x90
반응형

댓글